반응형
시흥시 인구 2023년 초 기준 512,912명입니다. 당해 6월 기준 518.437명으로 최근기준 증가 추세이며, 30년간 무려 인구가 5배 늘어난 도시입니다. 향후 전망도 긍정적입니다.
1. 시흥시 30년 인구 변화 현황
지리적 여건으로 서쪽의 인천, 동쪽의 서울, 북쪽의 부천과 인접하며 대도시 위성도시 역할을 수행합니다. 시화 국가산업단지를 보유하며, 항만, 공항과도 가까운 지리적 위치를 점하고 있는 산업도시입니다.
국가산업단지 배후주거지 형성, 택지개발등으로 무섭게 인구가 성장한 도시입니다. 입주시기인 2000년 초, 2016년 급성장하는 인구 그래프의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도 인접 도시들과 함께 개발이 계획, 진행되고 있는 중이어서 인구 전망도 밝습니다. 실제 최근 인구에서도 상승세를 타고 있습니다.
지방소멸위기를 다루며 많이 언급했던 지방소멸지수에서 <소멸무관> 지역으로 꼽힌 지역 중 하나입니다.
2. 시흥시 읍면동 인구 변동 통계
배곧신도시 배곧동 인구 7만 명이 눈에 띕니다. 현재 배곧동은 1,2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대야동, 은행동, 목감동, 장곡동 인구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2023년 현재 기준으로 대야동, 목감동은 소폭 인구 감소했으며 은행동은 5만 5 천명대로 약 7천 명 증가하였고, 장곡동은 2020년 이후 대규모 아파트입주로 4만 1천 명으로 1만 3천 명 이상 증가했습니다. 또한 2025년 수도권 전철 장곡역 개통으로 전망도 좋습니다.
2015년 | 2020년 | 증감 | |
대야동 | 33482 | 44050 | +10568 |
신천동 | 41411 | 36338 | -5073 |
신현동 | 11643 | 10051 | -1592 |
은행동 | 29900 | 48630 | +18730 |
매화동 | 13465 | 12055 | -1410 |
목감동 | 11745 | 41871 | +30126 |
과림동 | 2352 | 2240 | -112 |
정왕2동 | 36899 | 34979 | -1920 |
정왕3동 | 28386 | 25306 | -3080 |
정왕4동 | 31630 | 21335 | -10295 |
정왕본동 | 40808 | 38700 | -2108 |
정왕1동 | 42129 | 39624 | -2505 |
능곡동 | 16097 | 18403 | +2306 |
군자동 | 25625 | 22557 | -3068 |
월곶동 | 16275 | 16357 | +82 |
연성동 | 24596 | 23561 | -1035 |
장곡동 | 18651 | 27803 | +9152 |
배곧동 | 71287 | +71287 |
반응형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광주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1) | 2023.07.20 |
---|---|
포천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1) | 2023.07.20 |
경기도 시,군 인구 순위 (1위 수원시, 31위 연천군) (1) | 2023.07.13 |
경기도 오산시 인구수 (30년 변화, 동 인구) 현황 (0) | 2023.07.12 |
경상남도 창원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0) | 2023.07.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