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무주 인구 23,416명입니다. 2013년부터 10년 이상 꾸준한 인구 감소 추세입니다. 특별히 인구 감소 극복 대안이 없는 게 지방도시 문제입니다.
1. 무주군 30년 인구변화 현황
1967년 76,197명 최고인구를 찍었던 무주는 산업화에 따라 인구가 감소해 온 지방도시중 하나입니다. 30년 인구 변화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반등 없이 정직하게 감소해 왔습니다. 산악지형이 많은 특성으로 개발이 더디고, 뚜렷한 주력산업 없는 도시환경은 젊은이들을 떠나게 합니다. 이는 많은 지방도시가 겪는 공통 문제기도 합니다.
2013~2023년 인구를 보시면 +77명 상승한 2013년도를 제외하고 매년 200~300명대의 인구감 소이 늘 있어 왔습니다. 무주는 고령화 지역이며, 관광산업이 주력인 도시라 젊은 층 인구를 유지시키고 증가시킬 메리트가 부족합니다.
년도 | 인구 | 증감 |
2023 | 23416 | -73 |
2022 | 23489 | -259 |
2021 | 23748 | -288 |
2020 | 24036 | -273 |
2019 | 24303 | -286 |
2018 | 24589 | -220 |
2017 | 24809 | -140 |
2016 | 24949 | -271 |
2015 | 25220 | -170 |
2014 | 25390 | -8 |
2013 | 25398 | +77 |
오히려 이만큼 인구를 유지한 배경이 무주리조트, 무주구천동, 덕유산 등의 아직도 선호받는 관광 자원들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것들이 젊은 층 인구를 유입시킬 여건은 되지 못합니다.
2. 무주군 인구수 및 특징
2-1 무주군 남녀 비율
인구수 23416명 중 남자 11714명, 여자 11702명으로 성 비율은 거의 50%입니다. 그러나 만 65세 이상 고령 기준으로 여자 인구가 무려 1400명 많습니다. 이는 여성의 높은 생존연령 때문입니다.
2-2 무주군 65세 이상 비율, 평균연령, 중위연령
2021년(최신통계) 기준 7713명으로 도시 인구의 34.5%에 달합니다. 평균 연령은 53.6세 , 중위연령은 57.7세로 모두 심각한 인구 고령화 도시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전라북도기준 무주군의 고령화 상황이 궁금하다면 아래 자료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2023.05.16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전라북도 시, 군 평균연령, 중위연령 현황, 순위
전라북도 시,군 평균연령, 중위연령 현황, 순위
전라북도 시, 군 중 평균연령, 중위연령 현황, 순위를 알려드립니다. 이를 통해 도시 인구고령화 정도를 파악해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젊은 도시는 전주시, 고령화 도시는 진안군입니다. 1. 평균
njoballiance.tistory.com
3. 무주군 인구 미래
무주군도 전입장려, 결혼, 출산, 양육, 교육, 일자리, 귀농귀촌을 위한 노력을 해 오고 있습니다. 다만 이것은 모든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을 쏟아부으며 해오고 있는 일반적인 노력입니다. 이는 인구 유출을 늦출 수 있을지는 몰라도 장래 인구를 유지하고 증가시키기에는 부족합니다.
항상 인구 유입의 근본은 정주여건, 일자리입니다. 일할곳이 있고, 거주여건이 좋으면 사람들은 유입됩니다. 지방의 정말 큰 문제는 의료, 교육, 편의시설 인프라의 부족입니다. 이는 많은 시간과 자원이 필요한 일로 한순간의 예산활용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닙니다. 지금까지 무주군 인구, 인구변화, 인구 특징 관련 글이었습니다.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임실군 인구수, 30년 인구 변화 현황 (심한 고령화) (0) | 2023.05.16 |
---|---|
전북 장수군 인구수, 인구 변화, 특징 현황 (전북 최소인구) (0) | 2023.05.16 |
전라북도 시,군 평균연령, 중위연령 현황, 순위 (0) | 2023.05.16 |
충북 음성군 인구수, 인구변화 현황 (외국인 많은 도시) (0) | 2023.05.15 |
충청북도 시,군 인구순위 (1~11위) (0) | 2023.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