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부터 소득 대비 최저임금 차지하는 비중을 알려드립니다. 여기서 소득은 중위임금을 활용하며 임금대비 최저임금이 몇% 차지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목차
1. 중위임금이란?
2. 중위임금 대비 최저임금
3. 35년간 통계 현황
4. 미국,일본,프랑스 비교
1. 중위임금 이란?
중위임금은 대한민국 인구를 5천만 명이라고 가정할 때, 중간인 2500만 명째 되는 순위 사람의 임금을 뜻합니다. 평균소득과 조금 다른 개념이며, 고소득자의 존재 때문에 평균임금보다 낮게 형성됩니다. 중위임금은 말 그대로 대한민국의 중간 소득을 구할 수 있습니다.
2. 중위임금 대비 최저임금
중위임금 대비 최저임금 통계는 , 임금 중간값을 가지는 중위임금에 비해 최저임금이 어느정도 수준을 차지하는지를 볼 수 있습니다. 시기별 최저임금이 중위임금의 몇% 인가 통해서 현시점 최저임금 높음, 낮음 수준을 평가해 볼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 중위임금 *100 = 중위임금 대비 최저임금 비율
3. 중위임금 대비 최저임금 35년간 통계 현황
35년간 변화 그래프와, 세부적인 수치는 표로 확인가능합니다.
년도 | 중위임금대비 최저임금 비율 | 5년 평균및 전기대비 인상율 |
1988 | 33.0% | 33.08% |
1989 | 34.6% | |
1990 | 33.7% | |
1991 | 33.3% | |
1992 | 30.8% | |
1993 | 30.1% | 28.26% (-4.82%) |
1994 | 29.1% | |
1995 | 27.8% | |
1996 | 27.2% | |
1997 | 27.1% | |
1998 | 28.5% | 30.4% (+2.14%) |
1999 | 29.5% | |
2000 | 28.8% | |
2001 | 31.8% | |
2002 | 33.4% | |
2003 | 34.0% | 37.68% (+7.28%) |
2004 | 35.3% | |
2005 | 37.3% | |
2006 | 38.9% | |
2007 | 42.9% | |
2008 | 43.6% | 44.46% (+6.78%) |
2009 | 45.2% | |
2010 | 45.1% | |
2011 | 45.5% | |
2012 | 42.9% | |
2013 | 44.2% | 48.36% (+3.9%) |
2014 | 45.8% | |
2015 | 48.6% | |
2016 | 50.4% | |
2017 | 52.8% | |
2018 | 58.6% | 61.22% (+12.68%) |
2019 | 62.7% | |
2020 | 62.5% | |
2021 | 61.4% | |
2022 | 60.9% |
중위임금대비 최저임금은 1988년-2006년까지 18년간 30%대 수준이었고 2007년-2015년 8년간 40%대 수준, 2016년-2018년 2년간 50%대 수준 2019년에 60%를 추월했습니다.
이는 중위임금대비 최저임금 수준이 가파르게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첫 10%대 상승에 18년이 걸렸지만 이후 8년, 2년으로 매우 급속 상승했습니다. 이는 2007년 2017년,2018년 큰 상승 영향이며 증가한 최저임금은 내려가지 않기 때문에 중위임금대비 60%를 초과했습니다.
즉, 한국의 최저임금은, 노동자들은 중위임금의 60%가 넘습니다. 이것이 얼마나 높은 수치인지는 경제 수준 높은 나라와 비교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4. 중위임금 대비 최저임금 일본,프랑스,미국 비교
국가 | 2000년 | 2021년 | 증감 |
일본 | 32.3% | 44.9% | +12.6% |
프랑스 | 61.6% | 60.9% | -0.7% |
미국 | 35.7% | 29.0% | -6.7% |
한국 | 28.8% | 61.4% | +32.6% |
일본은 약 20년간 +12.6% 상승했고, 시장중심의 미국은 오히려 -6.7% 떨어졌습니다. 노동자 중심 프랑스는 과거 61.6%에서 소폭 하락하여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한국은 동일 기간 32.6% 증가했습니다. 저는 정보제공자로서 판단하지 않겠습니다. 판단과 해석은 독자님들에게 맡깁니다.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 인구수 30년 변화 ,특징, 전망 현황 (0) | 2023.10.13 |
---|---|
2023년 기준중위소득 10~200% 복지 필수정보 (0) | 2023.09.05 |
인천광역시 노인대학 (연락처, 주소) 정보 (0) | 2023.08.04 |
경기도 안성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0) | 2023.07.26 |
경기도 31개 시,군 평균연령 순위 (어떤 도시가 젊을까?) (0) | 2023.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