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인구는 통합 시 출범 이후 2022년 9월 말 기준 25만 명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매년 1500~2000명가량 감소하고 있습니다. 인구 변화 및 읍면 인구를 알아봅니다.
1. 경주시 30년 인구 변화 현황
천년을 유지한 신라의 수도이며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 가치를 지닌 도시입니다. 다만 이 역사적 상징성이 경주의 발전, 산업화를 막은 측면은 분명 있습니다. 경주는 도시개발계획에 따라 고도제한이 있는 도시입니다. 즉, 한없이 높게 건물을 올릴 수 없습니다. 또한 문화재가 흔히 묻혀있는 도시로서 개발 제한도 많습니다.
이 때문에 경주는 하늘을 넓게 볼 수 있으며 문화재가 많고 잘 정비된 아름다운 도시로서 보존시킬 수 있었지만, 역사적 위엄만큼 산업화 시대에 거대도시로서 성장하지는 못했습니다. 1995년 통합당시 283,766명으로 시작했던 인구가 계속해서 감소해 왔으며 2022년엔 25만 명 아래로 내려왔습니다.
최근 몇 년간은 1500~2000명가량 하락이 있었는데요. 이는 지역에서 자연감소되는 인구와 비슷한 숫자입니다.
2019 | 2020 | 2021 | 2022 | |
출생아수 | 1112 | 1130 | 1089 | 1002 |
사망자수 | 2154 | 2205 | 2322 | 2711 |
인구증감 | -1042 | -1075 | -1233 | -1709 |
2019년부터의 경주 지역 출생아수, 사망자수입니다.. 사망자수가 최소 1천 명 이상 많으니 인구는 자연적으로 줄어듭니다. 최근엔 그 폭 또한 늘어났습니다. 이것은 인구 구조적인 문제로서 쉽게 해결되는 성질이 아니기에 하락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경주는 소멸되지 않을 것입니다. 경주의 인구는 다소 줄어들 수 있겠지만 대한민국에서 매우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 도시로서 남아있을 겁니다.
2. 경주시 읍, 면, 동 인구수, 인구변화
5년 사이 읍, 면별 변동이 많습니다. 외동읍, 현곡면, 천북면, 용강동, 황성동, 불국동 인구가 증가했습니다. 외동읍은 지리상 울산 생활권에 가깝고 울산지역 산업단지 인접해 긍정적 영향을 받고 있으며 기타 대부분 인구증가 지역은 대단지 주거시설이 유치되는 공통점들이 있었습니다.
2015년 | 2020년 | 증감 | |
감포읍 | 5968 | 5852 | -116 |
안강읍 | 27446 | 24018 | -3428 |
건천읍 | 9895 | 9158 | -737 |
외동읍 | 19369 | 23763 | +4394 |
양북면 | 4106 | 3950 | -156 |
양남면 | 6012 | 5868 | -144 |
내남면 | 5071 | 4683 | -388 |
산내면 | 3038 | 3031 | -7 |
서면 | 3344 | 3132 | -212 |
현곡면 | 15705 | 21641 | +5936 |
강동면 | 7764 | 6321 | -1443 |
천북면 | 5299 | 5889 | +590 |
중부동 | 6012 | 5745 | -267 |
성건동 | 23588 | 21578 | -2010 |
월성동 | 6423 | 5777 | -646 |
선도동 | 16780 | 15641 | -1139 |
용강동 | 18244 | 21792 | +3548 |
황성동 | 27917 | 28202 | +285 |
동천동 | 25529 | 23300 | -2229 |
불국동 | 8820 | 9715 | +895 |
보덕동 | 2007 | 1729 | -278 |
황오동 | 7923 | 6522 | -1401 |
황남동 | 6050 | 4471 | -1579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칠곡군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 인구) 현황 (0) | 2023.06.04 |
---|---|
경상북도 경산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0) | 2023.06.04 |
경상북도 시,군 중위연령 순위 (1위 구미시, 23위 의성군) (1) | 2023.06.03 |
경상북도 구미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1) | 2023.06.03 |
경상북도 예천군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 인구) 현황 (0) | 2023.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