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구미시 인구 406,976명입니다. 경북 기준 인구순위 2위인데, 면적은 18위로 인구밀도 매우 높으며, 경북에서 가장 젊은 도시입니다. 구미 면적과 위치는 아래를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2023.05.23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경상북도 도시 면적 순위 (1위 안동, 23위 울릉)
1. 구미시 30년 인구 변화 현황
1995년 선산군 통합되며 현재의 구미시 탄생했습니다. 인구 302,413명 시작되어 2017년 최대인구 421,799명을 달성했으나 이후 인구 감소 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재도 경상북도에서 가장 젊은 도시지만 한때 전국에서 가장 젊은 도시였으며, 인구증가율도 가장 높았습니다. 사실 수도권을 제외하고 이런 성장하는 인구형태를 보이는 곳들은 드문데요. 구미시에 유치된 대형 산업단지 영향이 매우 큽니다. 구미시는 인구를 끌어들이기 위한 핵심인 두 가지 정주여건, 일자리 중 일자리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도시입니다.
최근 감소세를 조금 보이고 있지만, LG화학과 함께하는 구미형 일자리 유치로 인한 고용효과, LNG발전소 착공 등 경북지역의 대체 불가능한 도시로서 타 지역에 비해 인구 전망은 좋다고 보입니다.
2. 구미시 읍면동 인구수, 인구변화
중심 생활권을 형성하거나, 유력 산업단지가 유치된 곳의 인구 증가세가 눈에 띕니다. 지금은 읍으로 승격된 산동면의 경우 4차 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한 곳으로 2만 명 넘는 인구증가 통해 읍 승격을 이뤘습니다.
인동동, 진미동, 형곡2동은 인구 감소가 가장 심했던 지역입니다. 이 지역들도 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한 지역인데 위치한 산업 경기 침체로 인해 구미를 떠나 수도권으로 이동한 인구가 많았습니다. 이처럼 지역, 산업별 경기에 따라 유입, 유출이 극명하게 갈립니다.
2015년 | 2020년 | 증감 | |
선산읍 | 14,009 | 14,613 | +604 |
고아읍 | 31,696 | 35,526 | +3,830 |
무을면 | 1,887 | 1,805 | -82 |
옥성면 | 1,766 | 1,640 | -126 |
도개면 | 2,316 | 2,138 | -178 |
해평면 | 4,648 | 3,879 | -769 |
산동면(읍) | 5,177 | 26,958 | +21,781 |
장천면 | 3,556 | 3,131 | -425 |
송정동 | 18,381 | 23,914 | +5,533 |
원평1동 | 4,559 | 3,921 | -638 |
원평2동 | 3,869 | 2,948 | -921 |
도량동 | 30,700 | 29,618 | -1,082 |
지산동 | 2,845 | 2,213 | -632 |
선주원남동 | 48,363 | 40,453 | -7,910 |
형곡1동 | 14,829 | 14,228 | -601 |
형곡2동 | 20,773 | 16,680 | -4,093 |
신평1동 | 4,642 | 3,396 | -1,246 |
신평2동 | 2,627 | 3,211 | +584 |
비산동 | 4,746 | 6,310 | +1,564 |
공단1동 | 6,616 | 7,665 | +1,049 |
공단2동 | 6,626 | 5,177 | -1,449 |
광평동 | 4,925 | 4,507 | -418 |
상모사곡동 | 30,559 | 30,215 | -344 |
임오동 | 20,803 | 18,887 | -1,916 |
인동동 | 57,565 | 48,178 | -9,387 |
진미동 | 24,036 | 17,818 | -6,218 |
양포동 | 48,556 | 47,574 | -982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경주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 인구) 현황 (0) | 2023.06.03 |
---|---|
경상북도 시,군 중위연령 순위 (1위 구미시, 23위 의성군) (1) | 2023.06.03 |
경상북도 예천군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 인구) 현황 (0) | 2023.06.03 |
경상북도 성주군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 인구) 현황 (0) | 2023.06.03 |
경상북도 영덕군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 인구) 현황 (0) | 2023.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