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군 인구 37,962명입니다. 30년간 약 절반 인구가 감소한 지역입니다. 근래 인구 감소 추세, 규모는 줄었고 2023년 인구는 증가하기도 했습니다.
1. 신안군 30년 인구 변화
1992년 75,823명에서 2023년 기준 37,962명으로 거의 정확히 50% 감소했습니다. 전국 시, 도 중 전라도의 인구감소비율이 심했던 것을 고려해도 평균 이상의 감소비율입니다. 실제 인구감소지역으로 선정된 지역 중에서도 상위 5% 최고등급에 선정될 만큼 인구 감소가 심각합니다.
서쪽 육지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육로 통행이 불가능한 곳이 많기 때문에 교통이 불편합니다. 이에 산업조차 신안을 유명하게 만든 소금산업으로 젊은 층 선호 산업기반이 없습니다. 인구가 줄어드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 겁니다.
2022년에 비해 현재 2023년 4월 인구가 더 많습니다. 소폭 늘어나는 움직임들이 보이는 것은 귀촌, 귀어,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의 영향인데요. 이 사업들만으로 인구 전망을 긍정적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신안군은 중위연령이 60세가 넘는 매우 고령화된 도시이기 때문입니다. 아래에서 전라남도의 다른 도시와도 비교해 보실 수 있습니다.
2023.05.17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전라남도 시,군 중위연령, 평균연령 순위 현황
전라남도 시,군 중위연령, 평균연령 순위 현황
중위연령, 평균연령은 인구 고령화 판단에 좋은 지표입니다. 낮을수록 젊은 도시입니다. 전남에서 가장 젊은 도시는 무안군, 가장 고령화 도시는 고흥군입니다. 평균연령은 지역 연령의 평균값
njoballiance.tistory.com
2. 신안군 읍면 별 인구, 인구변화
전체 읍면 최신 인구통계는 2020년까지입니다. 2015년과 함께 명시하여 변화 방향을 함께 알도록 했습니다. 신안군은 2읍 12면으로 이루어졌으며 인구감소도시인 만큼 인구 감소하는 읍, 면이 많습니다. 인구가 증가하는 곳은 신안군청 소재지인 압해읍, 자은면 둘 뿐입니다.
2015년 | 2020년 | 증감 | |
지도읍 | 4215 | 4081 | -134 |
압해읍 | 5392 | 5677 | +285 |
증도면 | 1711 | 1586 | -125 |
임자면 | 3012 | 2756 | -256 |
자은면 | 2040 | 2098 | +58 |
비금면 | 3363 | 3158 | -205 |
도초면 | 2624 | 2504 | -120 |
흑산면 | 3539 | 3452 | -87 |
하의면 | 1557 | 1544 | -13 |
신의면 | 1550 | 1363 | -187 |
장산면 | 1496 | 1446 | -50 |
안좌면 | 2873 | 2673 | -200 |
팔금면 | 975 | 918 | -57 |
암태면 | 1888 | 1882 | -6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라남도 영광군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 인구) 현황 (0) | 2023.05.30 |
---|---|
전라남도 진도군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 인구) 현황 (1) | 2023.05.30 |
전북 고창군 인구 (인구변화, 읍면별 인구수) 현황 (0) | 2023.05.29 |
부산광역시 낚시터 정보 현황 (0) | 2023.05.28 |
전남 강진군 인구수, 인구변화, 읍면별 인구 현황 (0) | 2023.05.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