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는 종합자산관리계좌 줄임말로 세제혜택 때문에 추천받고 있습니다. 장점은 강화되었고, 단점은 많이 보완되었습니다. 앞으로 금융투자소득세가 신설된다면 더 유망해질 수 있어 유용해요.
1. ISA란 ?
ISA는 증권사를 통해 만들 수 있는데요. 내가 ISA계좌에 돈을 넣고, 그돈으로 ISA에서 가입 가능한 예금, 펀드 , ELS, 국내주식 등에서 골라 투자하게 되는 형태입니다. 그래서 종합자산관리계좌라고 합니다. 한번에 여러 금융상품을 장바구니담듯 담아서 관리할 수 있으니까요.
그럼 이런 상품을 왜 추천할까요? 개정을 겪으면서 가입조건, 수수료문제같은 단점은 많이 사라졌는데, 장점이었던 세제혜택 측면은 더 강화되었기 때문입니다.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과거 ISA는 권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누구든 하나쯤 있으면 좋을정도입니다.
2. ISA 장점 - 세제혜택
첫번째 장점은 세제혜택입니다. 내가 ISA를 통해 수익을 낸 것에 대해 일반형은 200만원, 농어민형은 400만원까지 비과세 해줍니다. 만약 200만원을 초과하면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도 9.9%로 분리과세 해줍니다. 가장 특별한점은 ISA. 계좌에서의 수익, 손실을 합산해서 순손익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됩니다.
예를들어 A상품에서 500만원의 수익을 냈고, B상품에서 300만원의 손실을 봤다면 우리는 손실에 대한 세금은 내지 않기 떄문에 500만원의 소득에 대한 세금을 계산하게 됩니다.
하지만 ISA계좌 안의 A,B 상품이었다면, 둘을 합산하여, 순손익인 +200만원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하게 됩니다. 당연히 이 금액이 200만원이면 위에 말씀들렸던 것처럼 비과세입니다.
심지어 2024년 예정된 개정에 의해 비과세 한도가 늘어날 예정입니다. 일반형 500, 농어민형 1000만으로 개정되면,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됩니다.
3. ISA 장점 - 과세이연
두번째 장점은 과세이연입니다. 보통 우리가 수익을 내게 되면 세금을 제하고 받는게 일반적입니다. 이를 테면 100만원의 이자수익을 거두게 되면 15.4%를 제외한 846000원만 받게 되는 거죠. 하지만 ISA계좌라면 세금을 제하기 전 100만원을 온전하게 받고 해지시에 내게 됩니다.
이것은 쉽게 설명하면 내것이 아닌 돈을 더 오래 쓰게 만들어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실 세금으로 내야 할 돈은 이미 없어졌어야 할 돈인데요. 내 계좌에 넣어 수익을 낼수 있는 거죠.
예를들어, 과세이연 효과를 받게 된 A는 100만원을 그대로 가지고 다음 투자를 할 수 있고, 과세이연이 없는 B는 세금을 제외하고 84만6천원만 투입해서 다음투자를 할수 있게 되는 개념이에요.
4. ISA 단점 - 수수료 문제
ISA는 세제혜택이라는 장점이 있었지만, 과거에 애매했던 이유는 수수료 때문이었어요. 수수료가 세제혜택보다 반드시 작아야만 했기 때문에 , 투자수익에 따라 애매한 경우도 생겼던 거죠.
근데 이건 이제 더이상 단점이 아닙니다. 일임형,신탁형ISA는 여전히 수수료, 신탁보수를 내야 하지만 새로생긴 중개형ISA는 직접투자하는 개념으로, 수수료를 별도로 내지 않아도 되어 단점이 없어졌다고 봐도 됩니다. 그냥 고민하실거 없이 중개형 ISA만 하시면 됩니다.
5. ISA 단점 - 긴 의무납입 문제
긴 의무납입 또한 단점으로 여겨졌는데요. 개정에 의해 의무납입기간은 3년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짧은 시간은 아니지만 과거처럼 5년이상의 부담스러운 기간이 아니니 목돈을 만들면서도 부담이 덜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6. ISA 단점 - 해외주식 직접투자 불가능
주식투자는 오로지 국내주식만 가능합니다. 해외주식이 불가능한건 조금 아쉬운 부분이긴 합니다. 하지만 국내 상장된 해외 ETF투자는 가능하기 때문에 꼭 해외직투를 해야하는게 아니라면 큰 단점이라고 보긴 어렵겠습니다.
7. ISA 추천 이유 종합 마무리
종합하면 ISA는 강력한 세제혜택과, 돈을 더 길게 쓰는 과세이연 혜택이 있어 목돈만들기에 매우 유용합니다.
2024년 개정에 의해 비과세 한도는 더 늘어나게 되니 장점은 강화되었고, 과거 문제였던 수수료문제는 중개형ISA로 해결된 셈이며, 긴 의무납입 기간은 3년으로 개선되면서, 장점강화, 단점은 보완되면서 지금은 누구에게나 추천할 수 있는 상품이 되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2025년 금융투자세가 어떻게 진행될지는 미지수지만, 앞으로 국내주식 매매차익에도 과세가 진행되면, 더더욱 국내주식에 대해 비과세를 받을 수 있는 ISA의 가치는 더 높아질 거라고 봅니다. 나중에 어떻게 운용하는지 헤메지 마시고 미리 만들어서 작은 자금이라도 운용해 보시는걸 권해드립니다.
'돈버는정보&돈아끼는정보 > 금융&경제&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B 투자, 저금리시기 예금 대체 하기 좋은 수단입니다 (5) | 2024.09.28 |
---|---|
금융소득 종합과세 2천만원 초과, 피하는 방법 3가지 (2) | 2024.09.16 |
연금저축 소득공제 한도 2024년 완벽 가이드 (0) | 2024.03.09 |
새마을금고 예금금리 높은곳 건전성 등급 함께 확인하자 (0) | 2024.02.22 |
홍콩 ELS 사태 진실, ELS 하면 안 될까요? (2) | 2024.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