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전북 부안군 인구수 , 인구 변화, 감소 현황

by 에르피스 2023. 5. 19.
반응형

전북 부안군 인구수 2023년 기준 50,020명입니다. 지방도시에서 인구 5만은 중요 의미를 가지지만 지키기 힘들어 보입니다. 인구가 자연감소하는 지역입니다.

 


1. 부안군 30년 인구 변화

 

부안군 30년 인구 변화 사진

 

농업, 수산업 기반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도시들은 산업화 이전인 과거에 매우 큰 규모였을 것입니다. 한때 인구 17만 명을 넘는 수준이었으나 산업화와 함께 도심에 인구를 유출당했습니다.

 

인구 5만 명도 위험하게 되었는데요. 지방도시에서 인구 5만은 의미가 큽니다. 매우 쉽게 말하자면 정부에서 주는 예산과 권한이 달라지는 구간 중 하나입니다.  직전 12개월간 인구, 월별 증감표입니다. 매우 치열하게 인구가 등락하며 5만 아래는 방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빨간색 -표시가 도드러진게 보일 겁니다.

 

인구 월 증감
2023.04 50020 -102
2023.03 50122 +16
2023.02 50106 +87
2023.01 50019 -75
2022.12 50094 -79
2022.11 50173 -44
2022.10 50217 -40
2022.09 50257 -101
2022.08 50358 -93
2022.07 50451 -35
2022.06 50486 -41
2022.05 50527 -29

 

1년 동안을 500명 안쪽에서 증감을 반복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감소 추세입니다. 올해 5만 인구를 지키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타 도시로 인구를 뺏기지 않더라도 부안군 인구는 자연감소 하기 때문입니다.

 


2. 부안군 인구 자연감소

 

2015년부터 최신 통계까지 7년간 출생아수, 사망자수입니다. 이를 통해 연간 자연증감 인구를 알 수 있습니다. 추세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출생아수는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사망자수는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2022,2023년 예측도 가능할 것입니다.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출생자수 267 268 290 215 226 169 168
사망자수 684 694 699 710 702 702 775
자연증감 -417 -426 -409 -495 -476 -537 -607

 

인구 자연감소는 매년 400명 정도 진행되다가 최근엔 5~600명으로 늘었습니다. 이는 낮은 출산율, 높은 고령화 수준으로 인해 점점 늘어날 것입니다. 

 


3. 부안군 인구 미래 - 낮은 출산율, 높은 고령화

 

부안군 뿐 아닌 거의 모든 농업, 수산업 기반 도시들이 겪는 문제로서 젊은 층 인구를 흡수할 힘이 적습니다.  전망은 좋지 못합니다. 젊은 층 인구는 산업화된 도시를 향합니다. 일자리를 마련해주지 못하고, 정착하고 결혼하고 출산할 여건을 만들어 주지 못한다면 인구는 오히려 유출당합니다.

 

 

젊은 층 유출로 출생아수가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노인층 비중이 높습니다. 부안군 평균연령 53.2세, 중위연령 57.3세, 65세 이상 인구비율 34%가 넘어가는 고령화 도시로서 자연감소인구 또한 더 늘어날 것입니다. 전라북도 안에서 비교해 봐도 부안군은 나이 든 도시에 속합니다.

 

2023.05.16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전라북도 시, 군 평균연령, 중위연령 현황, 순위

 

전라북도 시,군 평균연령, 중위연령 현황, 순위

전라북도 시, 군 중 평균연령, 중위연령 현황, 순위를 알려드립니다. 이를 통해 도시 인구고령화 정도를 파악해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젊은 도시는 전주시, 고령화 도시는 진안군입니다. 1. 평균

njoballiance.tistory.com

 

부안은 산과 들판, 바다와 섬 모두 존재하는 아름다운 자연을 가졌습니다. 하지만 사람이 살지 않는 도시, 활력을 잃은 도시가 된다면 이 아름다움도 퇴색될 것입니다. 지방 소멸 막기 위한 지차체, 국가 측면에서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