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내 글을 가치를 높게 평가한다면, 구글은 내 글을 더 잘 보이는 곳에 노출시켜 줄 것입니다. SEO는 풀어보면 간단한 관점은 아니지만, 결국 가장 쉬운 핵심은 저 한 줄로 설명 가능합니다. 그럼 콘텐츠 공급자인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은, 구글이 어떤 글을 가치 있다고 여기는지에 대한 요소를 하나씩 알아가는 것과, 기준에 맞추는 일입니다..
하나의 콘텐츠 안에는 텍스트 그리고 소량의 이미지가 들어갑니다. 오늘 언급할 것은 우리가 사진, 이미지를 등록할 때 구글이 좋아하는 요소들에 대해서입니다. 그리고 구글이 좋아하면 상위노출의 가능성은 높아집니다.
1. 더 적은 용량의 이미지
적은 용량의 이미지는 , 페이지를 열람할 때 더 빨리 로딩할 수 있고, 구글은 더 빨리 열리는 페이지를 더 가치 있다고 여깁니다. 우리도 어떤 사이트를 이용하는데, 사이트가 무한로딩에 걸리거나 느리면, 다음에는 그곳을 안 들리는 것과 비슷합니다. 적은 용량의 이미지를 좋아하기에 이미지 저장 시 PNG형태보다는 JPG형태로 저장해야 합니다. 또한 이렇게 만들어진 이미지를 이미지압축사이트를 통해 질적인 부분은 유지시키며 용량을 줄여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사이트에서 이미지 압축 부분만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이로서 JPG를 더 최적화된 JPG로 만들 수 있습니다.
iLoveIMG | 쉽고 빠른 온라인 무료 이미지 편집 툴
신속하게 파일 수정이 가능한 무료 이미지 편집 툴 iLoveIMG. 잘라내기, 크기 조정, 압축, 변환 등의 작업을 진행해 보세요!
www.iloveimg.com
2. 설명이 들어간 파일명과 알트태그사용
이미지를 저장할 때, 아무 이름이나 넣거나, 저장된 이미지 이름 자체를 사용하게 되므로, 파일명에 그동안신경을 쓰지 않으셨을 겁니다. 그런데 우리 깐깐한 구글은 파일명조차도 설명이 들어간 것을 선호합니다. AI는 정확히 이미지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이미지를 문자로 설명하는 알트태그나, 파일명이 있다면 더 명확한 글로서 선호하는 듯 보입니다.
파란 하늘 사진을 넣는다면 파란 하늘. jpg라고 적읍시다.
아이들이 물놀이하는 사진을 넣는다면 아이들-물놀이-사진. jpg 등으로 적습니다.
이미지에는 공백대신 - 을 이용해서 연결한다는 점을 주의하십시오.
알트태그는 이미지의 설명을 문자로 넣는 것입니다. 이미지를 올릴 때 우측의 톱니바퀴를 누르면 나오는 대체텍스트라는 곳에 이미지의 설명을 넣으면 됩니다.
3. 고유 이미지, 글 맥락에 맞는 이미지
한 번도 안 본 고유 이미지를 가장 좋아합니다. 중복된 사진보다는 어디서도 사용되지 않았던 독창성이 있을수록, 더 가치 있게 평가합니다. 그래서 직접촬영물> 캡처> 복사이미지 순서로 선호도가 있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또한 문맥에 상관없으면 싫어합니다. 부동산 글인데, 주식사진, 당뇨병 관련 글인데, 하늘 사진처럼 뜬금없는 이미지가 쓰이는 글들을 나쁘게 평가합니다. 종합하면 맥락에 맞는 직접 촬영된 사진이나 이미지를 쓰는 것이 가장 베스트입니다.
4. 귀찮음을 감수하는 노력이 상위노출을 돕는다.
결론적으로 직접 찍은 사진일수록 좋으며 글의 맥락에 맞는 이미지여야 하고 파일명과 알트태그를 통해 이미지를 문자로 설명해야 합니다. 사진은 적은 용량인 JPG로 저장하며, 그조차도 한 번 더 압축하는 수고를 거쳐서 더 빠른 로딩을 도와, 구글에게 좋은 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 모든 과정은 간단하면서도 사람을 번거롭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번거롭기에, 신경 쓰는 사람과 아닌 사람이 발생하며 꾸준히 1%씩 차이가 나게 됩니다. 그리고 그 1%가 상위노출을 구분 짓는 분기점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글 하나를 적을 때, 정말 많은 것들을 고민하게 됩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이미지에 관해선 소홀하기 쉽기에 블로그 상위노출 위한 이미지, 사진 등록방법에 대한 글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티스토리 애드센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애드센스 승인 즉시 꼭 해야할 TIP (0) | 2023.01.21 |
---|---|
구글 애드센스 승인 경험 팁 공유 (1) | 2023.01.20 |
티스토리글 구글 검색누락 확인 방법 및 해결책 (1) | 2023.01.12 |
티스토리 블로그 기초 제목1 제목2 제목3 활용법 (3) | 2023.01.08 |
내 사이트는 검색엔진최적화(SEO) 몇 점 일까? (0) | 2023.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