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 인구 100,746명입니다. 근 5년간 매년 1200~2000명가량 감소했기에 올해 10만 인구 크게 위협받습니다. 가흥1동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읍, 면, 동 인구가 감소했습니다.
1. 영주시 30년 인구 변화 현황
1995년 도농통합으로 138,654명의 최대인구를 찍은 이후 계속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10만 인구가 위협받고 있으며 매년 1200~2000명 정도 감소 추세를 고려해 볼 때 2023~2024년 사이에 10만 인구 지키는 것이 어려워 보입니다. 고점대비 약 28%나 감소했으며 이는 시 기준 높은 감소비율입니다.
아름다운 소백산을 볼 수 있는 지역으로서 영주 사과가 특히 유명합니다. 과수원이 많으며 1차 산업 기반의 도시로서 안동과 더불어 인구 유출이 심했습니다.
2. 영주시 읍, 면, 동 인구수, 인구변화
1읍 9면 7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면 단위는 고령화가 특히 심합니다. 풍기읍과 동을 제외하고는 모두 중위연령 60대 이상으로 안정면의 경우 2020년 기준으로 중위연령 64세를 넘었습니다.
안정면은 영주시에서 단 두 곳뿐인 인구증가 지역이었는데 사실상 65세 이상 인구가 대폭 늘어난 것이라 크게 의미 있는 데이터는 못 됩니다. 이에 반해 가흥1동은 무려 5268명이 증가했으며 연령대 고르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대규모 택지조성 덕분입니다.
그 외 지역들은 규모의 차이는 있겠지만 인구가 모두 감소했으며, 특히 풍기읍, 상망동, 하망동, 영주동, 휴천동의 인구 감소폭이 다른 지역보다도 심한 편입니다.
2015년 | 2020년 | 증감 | |
풍기읍 | 13930 | 11546 | -2384 |
이산면 | 2422 | 2143 | -279 |
평은면 | 1411 | 1369 | -42 |
문수면 | 2001 | 1988 | -13 |
장수면 | 2264 | 2132 | -132 |
안정면 | 3145 | 3191 | +46 |
봉현면 | 2978 | 2501 | -477 |
순흥면 | 2088 | 1866 | -222 |
단산면 | 1894 | 1751 | -143 |
부석면 | 3054 | 2864 | -190 |
상망동 | 9164 | 7947 | -1217 |
하망동 | 6881 | 5846 | -1035 |
영주1동 | 4658 | 3884 | -774 |
영주2동 | 4081 | 3407 | -674 |
휴천1동 | 7575 | 6997 | -578 |
휴천2동 | 10622 | 8953 | -1669 |
휴천3동 | 9056 | 7968 | -1088 |
가흥1동 | 13509 | 18777 | +5268 |
가흥2동 | 8533 | 8688 | +155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영천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0) | 2023.06.05 |
---|---|
경상북도 김천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0) | 2023.06.05 |
경상북도 문경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0) | 2023.06.04 |
경상북도 청도군 인구수 (30년 인구, 읍면 인구) 현황 (0) | 2023.06.04 |
경상북도 칠곡군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 인구) 현황 (0) | 2023.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