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시 인구 100,856명입니다. 약 10년째 10만을 사수하는데 인구 정체기로 보입니다. 인구의 소폭 증가도 젊은 층 유입보다는 귀농인구에 가깝습니다.
경상북도에서 영천시 면적과 위치 등의 지리 조건이 궁금하시면 아래 내용을 함께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지리적으로 대구의 위성도시 역할 겸, 포항과 경주와도 인접해 있습니다. 지리 여건은 인구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집니다.
2023.05.23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경상북도 도시 면적 순위 (1위 안동, 23위 울릉)
경상북도 도시 면적 순위 (1위 안동, 23위 울릉)
경상북도 도시 면적 순위 알려드립니다. 총 23개의 시, 군이 존재하며 가장 큰 도시는 안동시 가장 작은 도시는 울릉군입니다. 가장 도시지역이 큰 도시는 경주시입니다. 강원도를 제외하고 가장
njoballiance.tistory.com
1. 영천시 30년 인구 변화 현황
도농통합 후 123,069명 인구로 시작, 2023년 5월 기준 100,856명입니다. 크게 구분 짓자면 1998년부터 인구 감소기, 2013년부터 정체기로 나눠집니다. 2013년부터는 10만 대~10만 2천대 인구를 유지하며 10년째 이어갔으며 인구가 소폭 증가한 구간들도 주로 귀농에 의한 증가입니다.
시내 부근(완산동) 젊은 인구가 집중되어 있고 읍, 면 단위의 고령화는 심각합니다. 특히 영천시 10개 면의 중위연령은 모두 60세가 넘어가는 등 중심가와 면 단위의 연령 격차도 상당히 큽니다. 이는 면 단위 지역은 외부 유입 없다면 자연적으로 인구 감소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입니다.
2. 영천시 읍, 면, 동 인구수, 인구변화
영천시 1읍 10면 5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신녕면, 화북면, 고경면, 동부동, 중앙동, 완산동입니다. 이중 완산동을 제외한 지역은 인구증가분을 살펴보면 모두 65세 이상 인구가 대폭 늘었고 15세 미만 인구는 모두 줄어든 공통점이 있습니다.
완산동은 영천시 시내로서 중위연령 47세의 비교적 젊은 지역입니다. 2,585명의 인구 증가분 중 15세 미만은 449명이 증가했고, 15~64세인 생산 가능 인구도 1793명 증가하여 가장 바람직한 인구 증가 모습을 보였습니다.
2015년 | 2020년 | 증감 | |
금호읍 | 11285 | 10877 | -408 |
청통면 | 4148 | 4058 | -90 |
신녕면 | 4038 | 4251 | +213 |
화산면 | 3090 | 2984 | -106 |
화북면 | 2027 | 2078 | +51 |
화남면 | 3016 | 2896 | -120 |
자양면 | 1051 | 1080 | +29 |
임고면 | 4100 | 3982 | -118 |
고경면 | 5533 | 5755 | +222 |
북안면 | 4535 | 4441 | -94 |
대창면 | 3329 | 3218 | -111 |
동부동 | 28469 | 29484 | +1015 |
중앙동 | 9032 | 9473 | +441 |
서부동 | 5225 | 4684 | -541 |
완산동 | 4066 | 6651 | +2585 |
남부동 | 4725 | 4441 | -284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상주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1) | 2023.06.06 |
---|---|
경상북도 안동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0) | 2023.06.05 |
경상북도 김천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0) | 2023.06.05 |
경상북도 영주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0) | 2023.06.05 |
경상북도 문경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0) | 2023.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