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경상북도 김천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by 에르피스 2023. 6. 5.
반응형

김천시 인구는 14만을 지켜오다 2022년부로 14만이 깨졌으며 소폭씩 감소하여 현재 138,964명 정도입니다. 인구는 정체 후 소폭 하락세이며 혁신도시 위주의 쏠림이 있습니다.

 


1. 김천시 30년 인구 변화 현황

 

김천시 30년 인구 변화 사진
KOSIS

 

그래프에서 보이듯 김천시는 인구감소 심한 지역은 아닙니다. 하지만 인접한 구미시의 경우 도농통합 이후 34%의 인구성장을 이뤘음에도 김천시는 약 7% 이상 인구가 감소했습니다. 

 

김천시의 인구 증가, 인구 감소 모두 구미, 대구의 영향이 컸습니다. 대도시 인접 도시로서 인구를 지킬 수 있었지만, 산업화 때 급격히 발전한 구미시 영향으로 인구를 많이 유출당하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14만 내외에서 계속해서 인구를 지켜오다가 14만 인구가 깨진 상황입니다. 

 

2023.06.03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경상북도 구미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경상북도 구미시 인구수 (30년 변화, 읍면동 인구) 현황

경상북도 구미시 인구 406,976명입니다. 경북 기준 인구순위 2위인데, 면적은 18위로 인구밀도 매우 높으며, 경북에서 가장 젊은 도시입니다. 구미 면적과 위치는 아래를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20

njoballiance.tistory.com

 

김천시는 경북혁신 신도시와 함께 인구 20만을 바라보겠다고 했지만 사실상 쉽진 않아 보입니다. 인접 구미지역만큼의 특별한 성장동력이 없는 데다 인구가 자연감소세로 전환되었기 때문입니다. 실제 읍, 면, 동 기준으로도 신도시 이외에 인구는 서서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2. 김천시 읍, 면, 동 인구수, 인구변화

 

경북혁신 신도시가 조성된 율곡동은 김천시 미래를 책임질 핵심지역입니다. 무려 5년 사이 13,463명 인구가 증가하였으며 2023년 기준 2만 3천 명 인구를 넘었습니다. 계획인구는 2만 5천 명으로 부족한 의료 인프라등 보강하며 사활을 걸듯 보입니다.

 

기타 지역들은 대부분 인구가 감소했으며 특히 아포읍, 대신동, 대곡동, 지산동, 평화남산동의 인구 감소가 부각됩니다. 가장 인구감소가 많았던 평화남산동은 김천시 원도심으로서 구도심은 혁신지역이나 택지개발이 잘 된 곳으로 이주하는 이탈현상이 일어납니다.

 

  2015년 2020년 증감
아포읍 7871 6869 -1002
농소면 2967 2805 -162
남면 3285 3088 -197
개령면 2665 2296 -369
감문면 3637 3333 -304
어모면 5118 4584 -534
봉산면 3321 2978 -343
대항면 3778 3274 -504
감천면 1972 1780 -192
조마면 2349 2142 -207
구성면 2911 2618 -293
지례면 1756 1574 -182
부항면 1210 1140 -70
대덕면 2253 2135 -118
증산면 1119 987 -132
양금동 4813 3869 -944
대신동 28243 26378 -1865
대곡동 21627 20321 -1306
지좌동 10658 11021 +363
자산동 8273 6737 -1536
평화남산동 9412 7451 -1961
율곡동 8302 21765 +1346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