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버는정보&돈아끼는정보/보험

암,뇌,심장질환 보험 진단금 담보 위주로 가입하세요 이유 3가지

by 에르피스 2025. 3. 18.
반응형

 

보험 가입시 실비 다음 우선순위 둘 부분은 암, 뇌, 심장질환 담보입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정에 평온을 깰만큼 큰 사건이며, 경제적 어려움을 동반하기 때문에 대비 필요성이 있습니다.

 

이때 막히는 부분은 항상 어떻게 가입해야 하는지 고민거리인데요. "진단금 담보 위주로만 가입" 하시면 됩니다. 부가적인 수술비, 입원비, 방사선치료비 이런것 안넣으셔도 된다는 얘기입니다.

 

사실 대부분의 설계 제안엔 이 수술비, 입원비등이 포함된 경우도 흔한데요. 전부 보장받으면 좋은걸 누가 모르겠습니까. 다만 비용이라 선택과 집중의 문제라면 더 좋은 담보에 집중해야 합니다. 

 

진단금 담보 유용함 3가지

1. 진단금은 경제적으로 유연성있게 사용 가능합니다.

 

아주 단순한 첫번째 유용함은 , 일시금 고액 목돈 형태로 지급되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대부분 몇천만원의 진단금이 지급되므로, 생계활동이 어려워지는 시점에 가장 큰 도움이 되는 담보입니다. 특정조건을 갖춰야 받을 수 있는 수술비 몇백, 입원비 몇만 정도의 담보보다 당연히 훨씬 더 유용함니다.

 

2. 진단금은 청구에 분쟁요소 적고, 절차도 간편합니다.

 

두번째 유용함은 청구시 분쟁요소 적고 간편하다는 겁니다. 진단 코드면 대부분 받을 수 있습니다. 수술비, 입원비 담보 등은, "수술에 대한 정의"를 충족해야 하거나 직접적인 인과관계로 수술등의 치료가 발생했다는 근거들을 이유로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추가적 서류도 더 요구됩니다.

 

즉, 더 유용한 보험이면서, 심지어 보험금을 지급받을때도 편리하다는게 두번째 장점입니다.

 

3. 짧은 입원기간, 통원치료 위주 변화로 진단금이 유용합니다. 

세번째 유용함은 환경 변화입니다. 예를들어 암의 경우 실제적으로 입원기간이 극단적으로 짧으며 통원치료 추세입니다. 장기 입원은 필요하다 해도 병원도 좋아하지 않습니다. 수술적 치료도 모든 건에 있어서 하는것이 아닙니다. 이런 치료환경 변화라면 더더욱 "진단만 해도 받는" 진단금"이 중요해지며 부가치료의 중요성은 적어집니다. 

 

진단금은 생활비를 커버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치료비는 실비에 맡기면 됩니다. 굳이 내 담보들을 지저분하게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이 내용들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진단금 보험료 부담된다면 갱신형으로 보강하면 된다

 

경우에 따라 가족력이 있고 빠른 발병, 오랜시간 치료를 한 가족의 케이스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걱정이 더 많이 될 수 있고 수술비, 입원비등의 보장을 높여야 할 현실적 이유가 될 수도 있습니다.이런 경우까지 모두 수술비, 입원비를 넣지 말라는 얘긴 아닙니다. 가장 첫번째 원칙은 "나에게 적정한" 것이니 까요.

 

하지만 이런 경우더라도 수술비, 입원비 등의 부가 담보대신 진단금 위주로 높이길 권장 합니다.

 

보험비용은 부담되면서도 젊은 시기의 발병이 우려된다면 비갱신형 진단금+ 갱신형진단금을 섞어서 특정시기의 담보액수를 높이면서 비용은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의 주제로 돌아가서 마무리하면, "진단금"이 가장 좋은 담보이니 우선해야 하며, 입원비 수술비보다는, 필요시 갱신형 진단금을 더 높이는 방향으로 가는게 더 옳은 방식입니다.

 

실질적인 적용으로는 이 내용을 안 상태에서 어느 보험사든 가입 설계를 문의할때 진단금 위주로만 설계해달라고 말해볼 수 있습니다.

*보험 민원해지로 납입원금+@ 돌려받은 과정 공유

 

보험 민원해지로 납입원금+@ 돌려받은 과정 공유

보험사 민원해지로 원금 + @ 돌려받은 사례 간략 공유하려고 합니다.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불완전계약을 하는 설계사들은 여전하고, 잘못된 가입사례도 꾸준하니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면 한

njoballiance.tistory.com

*주행거리 짧다면 유용한 캐롯 퍼마일 자동차보험

 

주행거리 짧다면 유용한 캐롯 퍼마일 자동차보험

안녕하세요 에르피스입니다. 요즘 집집마다 차 1대 이상은 흔한 일이 되어버렸습니다. 맞벌이가 일상화되었으며, 출퇴근용과 세컨드카를 분리하시는 분들도 많아졌습니다. 그런데 집마다 여러

njoballianc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