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김제시 인구수는 81,886명입니다. 지방도시는 대부분 인구감소 문제를 겪는데 이례적으로 2021년부로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무엇이 달랐을까요? 인구수, 인구변화, 인구증가요인, 인구감소요인 순서로 글을 정리했습니다. 통계청 KOSIS를 참고했으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1. 김제시 인구수
김제시 인구수 통계청 2023년 4월 기준 81,886명입니다. 이는 2022년 대비 431명 증가한 수치입니다. 지난 5년 데이터를 보면 감소 추세에서 증가 추세로 전환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년도 | 인구수 | 전년대비 증감 |
2023.04 | 81886 | +431 |
2022 | 81455 | +542 |
2021 | 81913 | -1537 |
2020 | 82450 | -1445 |
2019 | 83895 | -1436 |
연간 1천~1천500 정도의 인구 감소가 있던 과거를 감안했을 때, 증가세로 전환하고 유지하고 있다는 것은 꽤 의미 있는 일입니다. 현재 2023년 1/3 지난 시점에서 400명 이상의 인구가 증가했습니다.
2. 김제시 30년 인구 변화
김제시 인구는 1995년 통합 이후 계속 감소되어 왔습니다. 증가 전환은 최근이라 이례적인 것입니다. 더 규모가 큰 많은 지방도시들도 인구감소 영향을 받고 있는데 소폭이나마 극복해내고 있는 도시입니다.
3. 김제 인구증가
인구가 증가한 이유는 김제시의 인구 정책에 있습니다. 신규 아파트분양 사업 및 유아, 학생, 청년별 정책을 활용했습니다.
대상 | 사업 |
영유아 | 북스타트 사업 (도서 지원) |
중고등학생 | 김제사랑장학금, 격려금 확대 |
청년 | 지역특화 임대 스마트팜 사업 추진 |
특별한 사업들은 아닙니다. 각 지방에서 시도하고 있는 정책들도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 시너지를 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신규 아파트가 건축되고, 청년의 일자리 문제가 해결되고, 청년이 정착할 유아, 교육서비스에 대한 지원이 상승작용을 만드는 형태입니다.
즉, 사람들이 인식하기에 도시가 일자리를 제공하고, 좋은 주거환경을 제공하며, 교육서비스와 출산을 위해 노력한다는 인상을 준다고 여겼을 때 인구는 유입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김제시 인구에 좋은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지역 자체 인구는 자연감소 추세에 접어들었습니다.
4. 김제 인구 자연감소
소멸위험지수는 지역 인구가 자연감소확률이 높은지를 알려줍니다. 낮을수록 지역소멸에 가깝게 인구가 자연감소할 것이라고 보는데요. 김제 소멸위험지수는 매우 낮습니다. 위기입니다.
소멸위험지수 = 20~39세 여성인구 / 65세이상 노인인구 ( 0 ~ 1.5 )
노인에 비해 결혼,출산 적령기 여성이 많은지, 적은 지로 향후 미래인구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노인에 비해 가임기 여성인구가 많다면 높은 값이 나옵니다. 0.5 이하면 위험으로 분류하고 0.2 이하면 고위험으로 분류합니다. 소멸위험지수는 지방도시를 이해할 때 중요한 내용이니 자세한 내용은 이곳을 참고해 보십시오.
2023.05.07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소멸위험지수 (의미, 통계, 지역) 정보
김제시는 0.2대의 수치로 지방소멸 고위험지역 목전에 있습니다. 0.2라면 가임기 여성보다, 노인인구가 5배 많다는 이야기입니다. 실제 출생자수보다 사망자수가 많기에 김제 인구도 자연감소 되고 있습니다.
5. 김제시 인구 미래
전체적으로 긍정적 흐름으로 보입니다. 자연감소 문제도 다른 지방도시보다 긍정적으로 볼 지표가 있습니다.
현재 김제 인구의 증가분은, 자연감소분을 감안하고도 증가하는 것이니 인구 유입책은 실제보다 더 효과가 있는 것입니다. 인프라와 정책을 통해 유입된 인구는 단기성이 아니므로 어느 정도 유지할 힘을 가집니다. 또한 소멸위험지수가 매우 낮지만 이를 보조할 지표에서는 나쁘지 않은 결과를 보여줍니다. 지역재생잠재력지수입니다.
지역재생잠재력지수 = 2자녀 이상출생률 / 출산가능인구비율
출산가능자가 많은 자녀를 낳는 경우가 많을수록 올라가는 이 지표는, 당연히 향후 인구에 대한 기대치를 갖게 만듭니다. 김제시는 1.74로 도농통합 시 중 상위 3 도시 안에 듭니다.
즉 김제시는 가임기 여성인구가 적어 소멸위험지수가 낮지만, 인구가 유입되고 있으며, 정착한 인구는 2자녀 이상을 많이 출산하는 도시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자연감소는 사실 국가적인 문제라 좀 더 큰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지만, 지역의 유출은 이렇게 김제시처럼 정책적인 부분으로 막거나, 오히려 유입시킬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전북 김제시 인구에 관한 정보였습니다. 근래 지방도시 중 인구 증가 도시를 찾아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인데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반가운 일입니다. 김제시 지역 성장을 기원합니다. 참고가 될 주변도시들에 대한 정보와 비교해 보시면 더 좋을 것입니다.
2023.05.08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전북 남원시 (인구수, 인구 변화, 인구감소) 현황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 지자체 고령인구비율 순위 (2022, 2012년, 비교) (0) | 2023.05.10 |
---|---|
전북 전주시 인구수, 인구 변화, 완주 통합 정보 (0) | 2023.05.08 |
전북 남원시 (인구수, 인구 변화, 인구감소) 현황 (0) | 2023.05.08 |
소멸위험지수 (의미, 통계, 지역) 정보 (0) | 2023.05.07 |
군산 인구 30년 (변화,감소) 현황 (0) | 2023.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