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전북 전주시 인구수, 인구 변화, 완주 통합 정보

by 에르피스 2023. 5. 8.
반응형

전라북도 제1의 도시 전주 인구수 현황, 30년간 인구 변화, 완주 통합 문제에 대한 정보를 준비했습니다. 전주는 65만 인구가 깨져 2023년 4월 현재 인구 647,306명입니다.  

 

전북 도청 소재지로서 이견 없는 전라북도 최고의 도시이나, 타지방 최고 소재지에 비해서 경제성과, 인구성장, 발전 등에 아쉬움이 많은 도시입니다. 


1. 전주시 인구수

2023년 기준 전주시 인구 647,306명입니다. 10년간 인구와 증감폭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가, 감소 균형이 유지되는 편입니다. 즉, 인구가 정체되었다 고 보는 것이 비교적 정확한 표현입니다. 단, 2018~2020년까지 증가세를 이어가다가 최근 감소폭이 연속된 점은 우려사항입니다. 

 

연도 인구 증감
2023(04월) 647,306 명 -4,189
2022 651,495 명 -5,774
2021 657,269 명 -163
2020 657,432 명 +3,038
2019 654,394 명 +3,303
2018 651,091 명 +2,127
2017 648,964 명 -2,780
2016 651,744 명 -538
2015 652,282 명 -595
2014 652,877 명 +2,795

 

전주는 광역시(광주) 제외 전라북도 유일 특례시입니다. 즉, 50만 명 이상의 지방 대도시로서 우리가 지방도시를 다룰 때 많이 언급하는 정주여건, 인프라등의 문제에 있어 이미 대도시 수준과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특별히 이런 문제들로 인구를 심하게 유출시키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특별히 인구를 유입시키는 힘도 부족합니다. 기간을 늘려 30년간 변화를 봐도 비슷합니다. 

 


2. 전주시 30년 인구 변화

주변 읍, 면, 리를 편입해 오면서 인구를 늘려왔고, 1995년 도농통합으로 지금의 전주시가 되었습니다. 이후 신도시 개발 등으로 주변 농촌 인구를 꾸준히 흡수하여 인구를 늘려왔습니다. 특별한 감소세 없이 인구가 증가되어 왔지만 아쉬운 목소리도 많습니다.

 

전주 30년 인구변화
통계청 KOSIS

 

 

한때 비슷한 급이었던 대전, 광주가 광역시가 된 것에 비해 일반시로서 남았다는 것과, 일반시중 인구 1위였던 위상에서 청주, 창원, 천안등에 인구를 추월당했다는 이유입니다. 즉, 인구를 꾸준히 유지하며 증가해 왔으나, 과거 위상에 비해 더 발전하지 못했고, 각 지방 제1의 도시에 (청주, 천안) 규모도 밀린 것입니다.

 

제조업 기반으로 변화한 천안과, 지역 GDP규모로는 대도시급인 청주에 비교해 전주는 관광업 기반의 상대적 빈약한 경제 구조를 가져 청년층 유입등이 쉽지 않습니다. 현재 약 10년을 65만 대에서 정체하다 65만 아래로 인구가 내려갔으며, 특별히 지역 통합 없이 인구를 자력으로 늘리기는 쉽지 않은 모양새가 현재 전주의 모습입니다. 

 

자연인구 또한 감소합니다. 출생자수가 사망자수보다 적기 때문입니다.

연도 출생자수 사망자수 증감
2021 3,134명 3,416명 -282
2020 3,207명 3,403명 -196

 

이를 통해 간략하게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은 전주시 합계출산율이 낮거나, 노령층인구가 출산, 결혼적령기 여성에 비해 많다는 점일 겁니다. 전주의 소멸위험지수는 0.75로 전라북도의 다른 시에 비해 양호한 편이나 전체 기준으로는 주의에 해당하며 , 실제 자연인구는 감소 중입니다.

 

2023.05.07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소멸위험지수 (의미, 통계, 지역) 정보

 

소멸위험지수 (의미, 통계, 지역) 정보

지방 소멸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인 소멸위험지수에 대한 내용을 간단히 다룹니다. 의미, 통계, 지역 정보까지 알려드립니다. 가장 간단히 지방 소멸 정도를 확인할 통계입니다. 1. 소멸위험지수

njoballiance.tistory.com

 


3. 전주 완주 통합 문제

전주, 완주 통합 문제가 계속 논의되고 있습니다. 자력 성장이 힘든 전주로서는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완주 지역, 인구를 통합해서 더 큰 도시로 도약, 투자유치, 지역을 발전시키는 것이 하나의 과제이며, 농업 기반의 완주 입장에서는 특별히 실익이 없다는 이유로 통합을 반대합니다.

 

통합 찬성 통합 반대
대도시화, 투자유치 완주 군민 혜택 축소
지역 균형 발전 면접 비대함, 관리소홀

 

1997,2009,2013년 세 번의 통합 주민투표가 있었고, 완주 주민투표상 반대로 사실상 무산되었으나 지금까지도 꾸준히 논의되고 있습니다. 경제성과가 가장 낮은 전라북도로서는 대도시화된 중심도시의 역할을 전주에서 기대하는 것인데, 1차적인 반대에 그치고 있습니다. 사실 단순히 경제논리로 사람들의 삶을 정할 순 없는 문제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전주 인구수, 30년간 인구변화, 완주 통합 문제에 대한 간단한 정보였습니다. 전주와 행정구역이 인접한 두 도시인 익산, 김제 인구정보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함께 보여드립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2023.05.05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전라북도 익산시 인구수 (30년 변화, 성별, 연령별) 정보

 

전라북도 익산시 인구수 (30년변화, 성별, 연령별) 정보

전라북도 익산 인구는 272,320명입니다. 2001년 최고점 334,757명을 찍고 계속해서 급격한 하락 중입니다. 인구 유출과 연관된 인구 자연감소가 큰 문제입니다. 자료는 통계청 KOSIS를 참고하였으며 주

njoballiance.tistory.com

2023.05.08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전북 김제시 인구수, 인구 변화(증가, 감소) 현황

 

전북 김제시 인구수, 인구 변화(증가,감소) 현황

전북 김제시 인구수는 81,886명입니다. 지방도시는 대부분 인구감소 문제를 겪는데 이례적으로 2021년부로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무엇이 달랐을까요? 인구수, 인구변화, 인구증가요인, 인구감소

njoballianc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