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멸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인 소멸위험지수에 대한 내용을 간단히 다룹니다. 의미, 통계, 지역 정보까지 알려드립니다. 가장 간단히 지방 소멸 정도를 확인할 통계입니다.
1. 소멸위험지수 의미
공식을 통해 소멸위험지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만 20~39세 여성 / 만 65세 이상 = 소멸위험지수
만 20~39세 여성은 결혼, 출산 적령기 여성입니다. 즉 출생자수와 연관이 큰 집단입니다. 만 65세 이상은 노년층 인구입니다. 즉 사망자수와 연관이 큰 집단입니다. 이에 아래처럼 정리해도 무방합니다.
출생자수 / 사망자수
분모, 분자가 정말 동일하다면 1이라는 수치가 나옵니다. 즉 출생과 사망의 비율이 1:1에 가깝다는 뜻입니다. 이런 도시라면 인구가 유지된다고 보는 관점입니다. 낮으면 위험한 것입니다. 높으면 양호한 것입니다. 이것은 총 5단계로 나누며 각각의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2. 소멸위험지수 통계 판단
소멸위험지수 | 평가 |
1.5이상 | 소멸 저위험 |
1.0~1.5 | 보통 |
0.5~1.0 | 주의 |
0.2~0.5 | 소멸 위험 |
0.2미만 | 소멸 고위험 |
0.5 미만을 특히 소멸위험지역이라고 분류합니다. 0.5의 수치는 20~39세 출산 적령기 여성보다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두 배 더 많은 도시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0.2 미만은 소멸 고위험지역으로 즉 출산 적령기 여성보다 노인인구가 5배 많다는 것으로 매우 심각한 상황을 의미합니다.
3. 소멸위험지수 지역 현황
한국의 지역별 소멸위험지수는 어떨까요? 2023년 기준 전국 시군구 기준으로 소멸 저위험지역은 존재하지 않으며, 그 외에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연하게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위험, 고위험지역이 늘어납니다.
소멸위험지수 | 수치 | 지역 (전국 시군구 기준) |
저위험 | 1.5이상 | X |
보통 | 1.0~1.5 | 17곳 |
주의 | 0.5~1.0 | 93곳 |
위험 | 0.2~0.5 | 67곳 |
고위험 | 0.2미만 | 51곳 |
각각 테마별로 (최다, 최고) 소멸위험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 | |
최다 고위험지역 보유 | 전라남도 (총 11곳) |
최고 고위험수치 보유 도시 | 경상북도 군위군 (0.107) |
광역시 중 유일 고위험 도시 | 인천광역시 강화군 |
광역시 중 강화군을 제외하고 0.2 아래의 시군구는 없었습니다. 최고는 경북에서 나왔으며, 최다는 전라남도가 기록했습니다. 이런 결과에서 수도권(서울, 경기), 광역시 이외의 지역은 위험지역이 다수였으며 지방소멸론이 나올 수밖에 없는 근거가 됩니다. 지금까지 소멸위험지수 관한 통계 정보였습니다. 도움 되기를 바랍니다.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김제시 인구수, 인구 변화(증가,감소) 현황 (0) | 2023.05.08 |
---|---|
전북 남원시 (인구수, 인구 변화, 인구감소) 현황 (0) | 2023.05.08 |
군산 인구 30년 (변화,감소) 현황 (0) | 2023.05.06 |
전라북도 익산시 인구수 (30년변화, 성별, 연령별) 정보 (0) | 2023.05.05 |
전라북도 정읍시 인구수 (30년 변화, 성별, 연령별) 정보 (0) | 2023.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