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전라북도 익산시 인구수 (30년변화, 성별, 연령별) 정보

by 에르피스 2023. 5. 5.
반응형

전라북도 익산 인구는 272,320명입니다. 2001년 최고점 334,757명을 찍고 계속해서 급격한 하락 중입니다. 인구 유출과 연관된 인구 자연감소가 큰 문제입니다.

 

자료는 통계청 KOSIS를 참고하였으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30년간 인구변화를 통해 인구 감소에 대한 원인들을 살펴보고, 성별, 연령별 인구수를 통해 지역 인구의 숨어있는 문제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1. 익산시 30년간 인구변화

 

익산 인구수 30년간 변화내용 사진

1995년 도농통합으로 인해 통합 익산시가 출범되며 인구가 늘었습니다. 이후 완만한 상승이 있었으나 지속되지 못하고 하락한 모습입니다. 특히 2017년부터 그래프상으로 감소 기울기가 급격해진 모습입니다. 이는 지역유출 + 인구자연감소 두 가지 현상이 심화되기 때문입니다.

 

지역유출과 인구자연감소는 제각각 인구감소에 영향을 줍니다. 그리고 복합적으로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보통 지역에서 유출되는 인구는 일자리나, 정주여건(정착)을 이유로 떠나게 됩니다. 그리고 이런 니즈를 가진 대상은 20~30대입니다. 즉 1차적으로는 지역 출생아수와 연관 있는 결혼적령기의 청년들이 유출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에 따라 2차적으로 지역의 인구자연감소는 증가합니다.

 

5년 동안 익산을 떠난 인구를 지역 유출, 자연감소분으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총인구감소 지역 유출 자연감소
2018 6125 5719 456
2019 6291 5551 828
2020 5495 4597 872
2021 4163 2642 1262
2022 4416 2353 1711

 

특징적인것은 유의미하게 늘어나는 자연감소 인구의 증가입니다. 즉, 출생자, 사망자수 역전에 따른 인구 자연감소 영향을 고스란히 받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대한민국 기준 출생-사망을 통해 인구변화를 살펴본 자료로서 함께 참고하실 때 도움 될 것입니다.

 

2023.02.22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출생아수 사망자수로 보는 대한민국 총인구 변화

 

출생아수 사망자수 로 보는 대한민국 총 인구 변화

대한민국 인구 증감 추세를 판단할 수 있는 통계지표인 출생아수, 사망자수 통계를 통해 인구변화를 확인하고 미래 인구변화도 추측합니다. 대한민국 인구는 자연감소세에 접어들었으며 외국

njoballiance.tistory.com

 


2. 익산시 성별 인구수

익산 인구수 남녀 성비 사진

익산시 남성 인구수는 135,610명, 여성 인구수는 136,710명으로 여성의 인구가 약간 더 많습니다. 하지만 전체적 통계 기준으로는 50:50에 가까울 정도로 비슷한 수치입니다. 다만 비율만 비슷할 뿐, 자세히 들여다보면 해석이 다릅니다. 

 

익산 남녀 인구수 연령별 성비 사진

65세 이상에서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이는 여성의 높은 평균연령 때문입니다. 반대로 30대 미만에서는 남성이 많습니다. 특히 20~34세의 인구에서 큰 격차로 남성이 많은데요. 이 시기는 결혼적령나이 또는 가임기에 해당합니다. 실제 도시의 인구를 증가시킬 연령, 성별대 인구에서 20~30대 여성이 적다는 이야기입니다.

 

즉, 남녀 인구수는 비슷하나, 30대 미만에는 여성이 부족해져서 결혼적령기의 성비 불균형이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는 거의 모든 지방도시들이 겪는 문제입니다.

 

2023.03.01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대한민국 남녀 인구수 총 분석 정말 여성이 부족해질까?

 

대한민국 남녀 인구수 총 분석 정말 여성이 부족해질까?

대한민국 남녀 인구수는 거의 동일한 비율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이 더 많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여성이 부족해진다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단순한 남녀 인구수 통계로는 알 수 없기에 구

njoballiance.tistory.com

 


3. 익산시 연령별 인구수

2011년과 2023년의 연령별 인구수 비교했습니다. 이를 통해 지역 인구 연령의 변화 방향성을 알 수 있습니다.

 

  2011년 % 2023년 %
총인구 309804   272320  
15세미만 48278 16% 27951 10%
15~64세 221006 71% 183698 67%
65세이상 40520 13% 60671 33%
35세미만 133820 43% 87537 32%
20세미만 72495 23% 41659 15%

 

기간 중 총인구는 약 3만 7천 명 감소했습니다. 

  • 인구 중 15세 미만 비중은 총인구 중 16%였으나 10%로 감소했습니다.
  • 인구중 65세 이상 비중은 총인구중 13%였으나 33%로 급증했습니다.
  • 인구중 35세 미만(결혼적령기) 비중은 43% -> 32%로 감소했습니다.

즉, 총인구가 줄어들었는데 오히려 65세 이상 인구는 급증했습니다. 젊은 층 인구는 떠나고, 노인들이 남는 도시가 되어가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65세 이상이 증가하고, 35세 미만 청년 연령층이 줄어들고 있는 결과는 앞으로 출생, 사망에 영향을 주어 자연감소가 더 늘어날 것임을 보여 줍니다.

 

2023.02.22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늙어가는 한국? 1960~2070년 5년 간격 인구 비중 변화 통계

 

늙어가는 한국? 1960~2070년 5년간격 인구 비중 변화 통계

1960년부터 2070년까지 110년간 5년 단위로 65세 / 15~64세 / 0~14세 인구 비중 변화를 쉽게 차트와 수치로 알려드립니다. 대한민국이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모습과 국가가 늙어간다는 의미를 알 수 있습

njoballiance.tistory.com

 

정리하면 익산시는 약 27만의 인구를 가졌으나 감소하는 추세이며 급격해지고 있습니다. 지역유출, 자연감소 둘 다 문제이나, 자연감소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등, 출생, 사망자수로 인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습니다. 젊은 층 인구를 붙잡아둘 방안이 요구됩니다.

 

지금까지 익산시 인구수 관한 정보였습니다. 지역유출을 막는 일자리, 정주여건에 대한 분석과 대비로 다시 한번 전라남도 최고 도시중 하나로서 발전하길 기원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