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출생아수 사망자수 로 보는 대한민국 총 인구 변화

by 에르피스 2023. 2. 22.
반응형

대한민국 인구 증감 추세를 판단할 수 있는 통계지표인 출생아수, 사망자수 통계를 통해 인구변화를 확인하고 미래 인구변화도 추측합니다. 대한민국 인구는 자연감소세에 접어들었으며 외국인 유입으로 총인구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1. 출생아수 넘어선 사망자수 & 인구 자연 감소 

출생아수는 급감했습니다. 합계출산율은 1970년 4.53에서 2023년 0.7대로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합계출산율 2.1 이하가 의미하는 바는 2명의 부부가 2명의 자녀를 출산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이는 자연스러운 인구의 감소를 가져옵니다. 계속 감소하는 합계출산율 수치는 추후에도 출생아수는 더 줄어든다는 전망과 비슷합니다. 사망자수는 소폭씩 증가했습니다.  사망자수는 인구 증가와 고령화에 따라 완만하게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최근 2020년부터 기울기가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은 코로나19라는 변수의 영향입니다. 2020년 처음으로 출생자수를 사망자수가 추월하며 인구가 실질적으로 자연감소하는 단계가 되었습니다. 2.

대한민국 총인구 변화 & 외국인 인구 증가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총인구 51,069,375 51,269,554 51,422,507 51,629,512 51,779,203 51,829,136 51,738,071
외국인 1,363,712 1,413,758 1,479,247 1,651,561 1,778,918 1,695,643 1,649,967

7년간의 인구 통계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한국의 총인구는 어느 정도 유지되는 편입니다. 대한민국 거주 외국인의 비중이 낮아지는 인구를 어느 정도 대체할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도 데이터를 보시면 한국 내 외국인 비중은 상승해 왔습니다. 최근에 외국인 비중 증가세가 주춤한 것은 2019년부터의 코로나19의 영향이며 다시 회복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출산율은 줄어들지만, 노인층은 오래 살게 되고, 외국인이 유입되어 대한민국의 총인구가 유지된다는 것은 국가의 외국인 비중이 늘어나며 구성원은 늙어가고 있다는 말입니다. 출생자수 사망자수라는 기본적인 변화가 크게는 우리 사회 인구 구조 변화를 만들어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