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국가 구성원을 연령순으로 줄 세울 때 중앙에 위치하는 사람 연령을 중위연령이라고 합니다. 한 나라의 중위연령 변화는 고령화 파악에 용이합니다. 한국 및 주요 국가 중위연령 비교해 알려드립니다.
1. 2023년 한국의 중위연령 45.6세
차트가 다소 오른쪽으로 치중되어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현재 2023년 기준 한국 중위연령은 45.6세입니다. 쉽게 말해서 당신이 45.6세보다 어리다면 대한민국에서 젊은 50% 인구 안에 포함됩니다.
40년 전인 1980년대 중위연령은 20세 내외였고 20년 전인 2000년대 한국의 중위연령은 30세 내외였습니다. 이제는 45.6세가 한국의 중간나이이며 2060년가량이 되면 60대가 인구의 우리나라인구의 중간 나이가 됩니다.
2. 한국 중위연령 상승 원인 - 합계출산율 감소 & 평균생존연령 증가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 0.7대 (전국가 중 꼴찌)
대한민국의 평균수명 81.27세 (약 상위 20-30위 권 국가)
당연히 출생하는 인구가 적고, 기존 인구가 오래 생존할수록 구성원 연령 평균값은 올라갑니다. 한국 출산율은 전 세계에서 마지막 수준으로 통계시점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뒤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정도로 낮습니다. 구성원 평균수명은 전 세계국가 중 상위권 수준입니다. 한국은 선진국의 반열에 든 국가이며, 의학기술의 발달한 나라입니다.
3. 세계 속 한국 중위연령 비교
그럼 한국만 이렇게 높은 걸까요? 다른 국가에 대비해서는 어떨까요? 출산율 통계와 매우 비슷합니다. 제가 225개 국가의 출산율 통계를 포스팅했는데요. 당연히 출산율 높을수록 저 연령층이 많아져서 중간값 연령층을 감소시킵니다. 참고하며 보시면 더 도움이 될 겁니다.
2023.02.21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전 세계 225개국 출산율 순위 (1960년 1990년 2023년 2050년)
전세계 225개국 출산율 순위 (1960년 1990년 2023년 2050년)
약 220개의 전 세계 국가 출산율을 순위별로 알려드립니다. 지표는 통계청 합계출산율 지표를 이용했으며, 기간은 1960년부터 2050년까지의 약 90년 간 30년 단위 통계입니다. 통계청 기준으로 2021년
njoballiance.tistory.com
출산율 최상위권에 위치한 아프리카 중위연령은 미성년자 수준으로 낮습니다. 출산율이 높고, 평균연령이 30~50 수준으로 매우 낮으므로 중위연령이 낮은 것은 당연합니다.
출산율 상위권에 위치한 중동, 동남아시아 남아메리카는 20-30대 청년 수준입니다. 그리고 유럽 대부분의 국가와 한국, 미국등의 국가는 40대에 해당되는 중년입니다.
선진국들은 40대 중년 수준에 가깝습니다. 중위연령에 큰 영향을 끼치는 출산율은 줄어들고 평균연령은 높은 한국과 비슷한 형태를 보입니다. 다만 한국의 출산율이 특히 낮은 행보를 보이기 때문에 유독 다른 나라보다 급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결국 국가의 발전에 따라 중위연령은 늘어나지만 그 정도가 우리나라가 겪는 고유 문제를 대변하고 있는 것입니다.
중위연령 통계로 고령화 체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인구구조 변화는 경제와도 밀접하게 연관되며, 추후의 사회갈등 요소와도 큰 연관이 됩니다. 실제 사회전반적인 변화와,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시작되었습니다. 현재의 세상을 살아가며 꼭 알아야 할 상식입니다.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포 10년간 동 별 인구수 변화 및 여행지 TOP3 (0) | 2023.02.26 |
---|---|
한국 낮은 출산율 원인? 급감하는 혼인율 초혼연령 통계 보기 (0) | 2023.02.25 |
늙어가는 한국? 1960~2070년 5년간격 인구 비중 변화 통계 (0) | 2023.02.22 |
출생아수 사망자수 로 보는 대한민국 총 인구 변화 (0) | 2023.02.22 |
전세계 225개국 출산율 순위 (1960년 1990년 2023년 2050년) (0) | 2023.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