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늙어가는 한국? 1960~2070년 5년간격 인구 비중 변화 통계

by 에르피스 2023. 2. 22.
반응형

1960년부터 2070년까지 110년간 5년 단위로 65세 / 15~64세 / 0~14세 인구 비중 변화를 쉽게 차트와 수치로 알려드립니다. 대한민국이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모습과 국가가 늙어간다는 의미를 알 수 있습니다.

 

1. 통계 보기 전 알기

  • 110년 간 5년 단위의 통계이며,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 2023년 기준 과거는 통계치이며, 미래는 예측치입니다.
  • 65세이상 / 15~64세 / 0~14세로 구성비 구분을 나눈 것은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 65세 이상은 노령인구입니다. 즉, 세대 부양을 받아야 하는 인구입니다.
  • 15~64세는 경제활동인구입니다. 즉, 세대 부양에 필요한 경제활동 인구입니다.
  • 0~14세는 미래를 책임질 인구가 됩니다. 

2. 5년단위 대한민국 인구 65세 이상 / 15~64세 / 0~14세 비중 변화

1960년대부터 2070년까지 인구 비중의 변화 통계-대한민국 (사진)
출처 : 통계청

인구 구성비의 변화가 시각적으로 잘 나타내질 수 있는 차트로 작성했습니다. 초록색은 65세 이상의 노령인구, 빨간색은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 파란색은 0~14세의 미래를 책임질 아이들 세대를 의미합니다.

 

초록색의 노령인구비율이 차트를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는 것이 확연히 보입니다. 통계의 끝인 2070년에 달하면 무려 65세 이상의 노령인구가 생산가능인구를 넘어서게 됩니다. 세대의 부양을 받아야 하는 인구가, 세대의 부양을 책임지는 인구보다 많아지는 것입니다. 4차 산업혁명과 AI의 발달로 앞으로 육체적 능력에 의존하는 경향은 줄어들겠지만 노인세대가 젊은 층보다 많아진다는 사실은 우리 사회의 큰 과제가 될 것입니다. 파란색의

 

우리 미래를 책임질 0~14세의 젊은 세대는 점점 자취를 감추면서 2070년 기준으로 7%가량으로 떨어집니다. 마찬가지로 지금으로부터 50년 후인 이 미래에 인류가 가질 수 있는 대안이 있을지도 모릅니다만, 결국 인류가 존속하고 발전하기 위해 미래 그 자체라고 볼 수 있는 후세대의 인구구조가 줄어드는 것은 많은 생각이 들게 합니다. 

 

국가가 늙어가는게 보이시나요?

2-1 대한민국 고령사회 & 초고령사회

변화는 지금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2017년 전체 인구 중 65세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14%가 넘어가는 고령사회에 진입했습니다. 그리고 2025년 예측상으로 20%가 넘어가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됩니다. 선진국 반열에 오른 국가가  출산율이 떨어지고, 평균생존연령의 증가로 국가가 늙어가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수순임은 맞으나 대한민국은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타 국가들에 비해 매우 빠른편에 속합니다. 인구구조의 변화는 대규모의 사회변화를 만들어내는데 변화가 빠른 것의 단점은 이 변화를 준비할 시간을 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2-2 고령사회 초고령사회 간격이 짧은 것의 문제점

  • 일본 24년
  • 미국 73년 독일 40년 프랑스 115년
  • 한국 17년 예상

고령사회에 먼저 진입하면서 한국의 미래라고 일컫어지는 일본도 24년이 걸렸고 매우 빠른 속도였습니다. 이때 일본은 공적연금, 사회인프라 복지시스템 등에 매우 큰 어려움을 겪었죠. 공적연금, 공적의료비등으로 사회보장에 사용되는 돈이 막대하게 필요했습니다. 놀라울 것도 없이 우리나라에서 연금개혁, 의료보험개혁, 사회보장제도가 가지는 문제와 재원의 부족으로 생기는 개혁문제와 세대갈등을 생각해 보면 놀랍게도 비슷합니다. 한국은 이 갭이 일본보다도 빠를 것으로 예상되므로 더 고통스러운 시간이 될지도 모릅니다. 

 

이런 인구구조의 변화는 어느정도는 필연적일 수 있습니다. 선진국화 될수록 출산율은 감소하고, 평균 생존연령은 늘어납니다. 그러나 이 변화를 남들보다 빠르게 맞이하는 것은 막대한 사회변화를 만들어내고, 사회적 비용을 부담하며, 세대 간 갈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근본적으로 출산율이 좋아져야 이 구조와 흐름을 늦출 수 있는데 0.7대로 진입한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그저 지켜볼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인 과제로 삼아서 생각해볼 문제라는 생각을 합니다. 통계는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말해주며 세상을 넓게 보게 해줍니다. 자신만의 통찰력을 발휘하여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