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164

늙어가는 한국? 1960~2070년 5년간격 인구 비중 변화 통계 1960년부터 2070년까지 110년간 5년 단위로 65세 / 15~64세 / 0~14세 인구 비중 변화를 쉽게 차트와 수치로 알려드립니다. 대한민국이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모습과 국가가 늙어간다는 의미를 알 수 있습니다. 1. 통계 보기 전 알기 110년 간 5년 단위의 통계이며,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2023년 기준 과거는 통계치이며, 미래는 예측치입니다. 65세이상 / 15~64세 / 0~14세로 구성비 구분을 나눈 것은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65세 이상은 노령인구입니다. 즉, 세대 부양을 받아야 하는 인구입니다. 15~64세는 경제활동인구입니다. 즉, 세대 부양에 필요한 경제활동 인구입니다. 0~14세는 미래를 책임질 인구가 됩니다. 2. 5년단위 대한민국 인구 65세 이상 / 15~6.. 2023. 2. 22.
출생아수 사망자수 로 보는 대한민국 총 인구 변화 대한민국 인구 증감 추세를 판단할 수 있는 통계지표인 출생아수, 사망자수 통계를 통해 인구변화를 확인하고 미래 인구변화도 추측합니다. 대한민국 인구는 자연감소세에 접어들었으며 외국인 유입으로 총인구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1. 출생아수 넘어선 사망자수 & 인구 자연 감소 출생아수는 급감했습니다. 합계출산율은 1970년 4.53에서 2023년 0.7대로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합계출산율 2.1 이하가 의미하는 바는 2명의 부부가 2명의 자녀를 출산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이는 자연스러운 인구의 감소를 가져옵니다. 계속 감소하는 합계출산율 수치는 추후에도 출생아수는 더 줄어든다는 전망과 비슷합니다. 사망자수는 소폭씩 증가했습니다. 사망자수는 인구 증가와 고령화에 따라 완만하게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최근 .. 2023. 2. 22.
전세계 225개국 출산율 순위 (1960년 1990년 2023년 2050년) 약 220개의 전 세계 국가 출산율을 순위별로 알려드립니다. 지표는 통계청 합계출산율 지표를 이용했으며, 기간은 1960년부터 2050년까지의 약 90년 간 30년 단위 통계입니다. 통계청 기준으로 2021년까지 합계출산율 자료가 공개되었으므로 2021년 전후로 과거는 통계치, 이후는 예측치입니다. 통계청 기준이 나오게 되면 주기적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2021년 이전 2021년 2021년이후 과거 통계치 현시점 공개된 출산율 (현시점 2022년까지 공개됨-2023년3월) 예측치 (현재 상황 토대로) 통계청에서 2023년 3월 기준으로 2022년 기준 출산율을 0.78의 수치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예상치로 표현된 2023년의 0.88보다 훨씬 낮은 수치입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예상보다 실제 더 출.. 2023. 2. 21.
65세 이상 노후 보내고 싶은 방법 관련 흥미로운 통계 분석 65세 이상의 노인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한 통계임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노후를 어떻게 보내고 싶은지에 대해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와 제 주관적인 해석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자료는 통계청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먼저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은 미리 준비된 7개의 방법에 %로 답하는 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항목을 보니, 자아개발, 소득창출은 자기 발전을 위한 항목들에 가깝고 자원봉사, 종교활동, 취미활동 등의 사회활동 참여 항목들과 건강유지와 편히 쉰다는 휴식 항목들로 나눌 수 있습니다. 취미활동 자아개발 자원봉사 종교활동 소득창출 건강유지 편히쉰다 비교대상A 비교대상B 7개의 항목을 연령별, 배우자의 유무, 가족형태(독거, 부부, 자녀동거) , 교육 수준(무학, 초등, 중등, 고등, 대학) 별로 나누어.. 2023.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