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가량 목표 인구변화, 동 별 인구변화 통계를 알려드립니다. 동 별 인구 변화와 쏠림현상 원인도 간단히 분석합니다. 또한 제가 목포에서 인상 깊었던 여행장소를 안내해 드립니다
1. 목표 시 인구변화 및 원인
인구 감소 추세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빨간색으로 강조된 노령인구의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어, 전형적인 한국 인구수 변화의 모습을 그대로 구현하고 있는 지방도시입니다. 목표 시 인구 유출의 원인은 일자리 문제, 그리고 주거여건 문제가 가장 큽니다. 목표 시 인구감소분의 전출 도시를 분석해 보니 약 40% 이상이 인근 무안으로 이주했으며, 일자리와 무안신도시의 주거여건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하고 있어 이를 위한 노력과 출산지원금 확대등의 제도적 지원으로 인구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목포시는 출산 시 자녀 1명~5명까지 각 (150,250,350,450,550만 원) 단위로 출산지원금을 지급합니다. 하지만 지방도시의 인구감소 추세를 막는 것은 단편적인 정책 한두 개보다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목포에서 사는 시민들에게 제가 가장 많이 들었던 이야기가 일자리 문제입니다. 일자리가 없다고 느끼는 시민들의 체감이 바뀌지 않는 한 생산가능인구의 계속된 유출은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위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지만 2021년 목포인구는 약 218600명, 2022년 목포인구는 216900명으로 감소폭은 줄었지만 하락세를 유지 중입니다.
2. 목표 시 동별 인구 변화
크게 인구가 증가, 유지, 감소한 동네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인구가 증가한 동 : 연산동, 대성동, 용해동, 상동, 부주동
- 인구가 유지된 동 (5% 이내) : 산정동, 하당동, 옥암동
- 인구가 감소한 동 : 용당1동, 용당2동, 연동, 목원동, 동명동, 삼학동, 만호동, 유달동, 죽교동, 북항동, 이로동, 부흥동
목표 자체의 인구가 감소세이기에 인구 감소 구역이 더 많은 편이며, 다른 도시와 비슷한 형태로 구도심의 인구가 신도심으로 흡수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위에서 인구가 증가한 동의 경우는 대부분 하당도심권, 남악도심권으로 분류되는 신도심으로 분류되며, 용당동을 기점으로 하는 구도심의 인구는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뒤늦게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지역 노력을 계속하고 있으나 전체 인구감소와 여건이 좋은 곳으로의 쏠림현상이 더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자세한 인구감소 통계는 아래 통계를 참고 바랍니다.
3. 목포시 여행지 TOP3
아래 명시된 이외에도 목포에는 근대역사관, 자연사박물관, 생활도자박물관 등이 있습니다. 특별히 제 경험으로 인상 깊었던 곳은 아닙니다만, 아이와 함께 여행하는 가족이라면 교육적으로 좋은 기억이 될 수도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3-1 목포 해상케이블카
전국에서 최장 해상 케이블카로 유명합니다. 목포 북항스테이션-유달산-고하도로 완성되는 코스입니다. 보통 전남권 해상케이블카들의 경우와 비슷하게 일반, 크리스털캐빈으로 나눠져 있는데요. 바닥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설계된 케이블카입니다. 밤보다는 밝은 낮에 목포 바다를 감상하며 보셔야 합니다. 야경을 보실 생각이면 일반으로도 충분합니다. 가장 추천하는 것은 석양이 질 때 탑승하는 것입니다. 최상의 경치를 즐길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가격이 그렇게 저렴한 편이 아니라 자주 타기보다는 목포시에 방문했다면 한 번쯤 탈만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3-2 유달산 (전망대, 조각공원)
포털에 유달산 석양이라고 검색하시면 정말 많은 사진이 나오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그만큼 한 번쯤 볼만한 가치가 있는 석양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정상에 가는 길에 전망대가 많은데요. 좋은 뷰에서 사진도 찍어 보시고, 정상까지 올라가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가장 아름답게 목포를 보는 방법이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유달산엔 조각공원도 있는데요. 사실 조각은 제 취향은 아닙니다. 조각만 보러 갔다면 조금 실망했을 수 있는데요. 경관이 이쁘고 구경하거나 사진 찍을 포인트가 많으니 한 번쯤 가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특히 간간히 있는 분수대는 어린아이들일수록 너무 좋아하기 때문에 가족과 함께 오셨다면 더 좋은 경험이 되실 수 있겠네요. 입장료 없습니다.
3-3 춤추는 바다분수
동절기를 제외하고 운영합니다. 이제 곧 따뜻해지는 4월이 오면 분수를 구경할 수 있겠네요. 일반적으로 노래만 틀어주는 곳들도 많은데요. 이곳은 사연을 접수받아 중간에 낭독해 줍니다. 사연을 신청하거나, 신청곡을 설문할 수 있어 좋아하는 음악이 나오거나 내 사연이 낭독된다면 더 좋은 추억으로 남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이곳은 가족, 연인, 어린아이들 모두 좋아할 수밖에 없는 코스인 데다 입장료도 없습니다. 평화로 82에 위치한 평화광장에서 관람 가능합니다.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남녀 인구수 총 분석 정말 여성이 부족해질까? (0) | 2023.03.01 |
---|---|
전라남도 순천시 인구수 30년간 변화 및 원인 (0) | 2023.03.01 |
한국 낮은 출산율 원인? 급감하는 혼인율 초혼연령 통계 보기 (0) | 2023.02.25 |
한국 고령화 판단 통계지표? 중위연령 알기 (0) | 2023.02.24 |
늙어가는 한국? 1960~2070년 5년간격 인구 비중 변화 통계 (0) | 2023.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