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익산 인구는 272,320명입니다. 2001년 최고점 334,757명을 찍고 계속해서 급격한 하락 중입니다. 인구 유출과 연관된 인구 자연감소가 큰 문제입니다.
자료는 통계청 KOSIS를 참고하였으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30년간 인구변화를 통해 인구 감소에 대한 원인들을 살펴보고, 성별, 연령별 인구수를 통해 지역 인구의 숨어있는 문제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1. 익산시 30년간 인구변화
1995년 도농통합으로 인해 통합 익산시가 출범되며 인구가 늘었습니다. 이후 완만한 상승이 있었으나 지속되지 못하고 하락한 모습입니다. 특히 2017년부터 그래프상으로 감소 기울기가 급격해진 모습입니다. 이는 지역유출 + 인구자연감소 두 가지 현상이 심화되기 때문입니다.
지역유출과 인구자연감소는 제각각 인구감소에 영향을 줍니다. 그리고 복합적으로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보통 지역에서 유출되는 인구는 일자리나, 정주여건(정착)을 이유로 떠나게 됩니다. 그리고 이런 니즈를 가진 대상은 20~30대입니다. 즉 1차적으로는 지역 출생아수와 연관 있는 결혼적령기의 청년들이 유출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에 따라 2차적으로 지역의 인구자연감소는 증가합니다.
5년 동안 익산을 떠난 인구를 지역 유출, 자연감소분으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총인구감소 | 지역 유출 | 자연감소 | |
2018 | 6125 | 5719 | 456 |
2019 | 6291 | 5551 | 828 |
2020 | 5495 | 4597 | 872 |
2021 | 4163 | 2642 | 1262 |
2022 | 4416 | 2353 | 1711 |
특징적인것은 유의미하게 늘어나는 자연감소 인구의 증가입니다. 즉, 출생자, 사망자수 역전에 따른 인구 자연감소 영향을 고스란히 받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대한민국 기준 출생-사망을 통해 인구변화를 살펴본 자료로서 함께 참고하실 때 도움 될 것입니다.
2023.02.22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출생아수 사망자수로 보는 대한민국 총인구 변화
2. 익산시 성별 인구수
익산시 남성 인구수는 135,610명, 여성 인구수는 136,710명으로 여성의 인구가 약간 더 많습니다. 하지만 전체적 통계 기준으로는 50:50에 가까울 정도로 비슷한 수치입니다. 다만 비율만 비슷할 뿐, 자세히 들여다보면 해석이 다릅니다.
65세 이상에서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이는 여성의 높은 평균연령 때문입니다. 반대로 30대 미만에서는 남성이 많습니다. 특히 20~34세의 인구에서 큰 격차로 남성이 많은데요. 이 시기는 결혼적령나이 또는 가임기에 해당합니다. 실제 도시의 인구를 증가시킬 연령, 성별대 인구에서 20~30대 여성이 적다는 이야기입니다.
즉, 남녀 인구수는 비슷하나, 30대 미만에는 여성이 부족해져서 결혼적령기의 성비 불균형이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는 거의 모든 지방도시들이 겪는 문제입니다.
2023.03.01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대한민국 남녀 인구수 총 분석 정말 여성이 부족해질까?
3. 익산시 연령별 인구수
2011년과 2023년의 연령별 인구수 비교했습니다. 이를 통해 지역 인구 연령의 변화 방향성을 알 수 있습니다.
2011년 | % | 2023년 | % | |
총인구 | 309804 | 272320 | ||
15세미만 | 48278 | 16% | 27951 | 10% |
15~64세 | 221006 | 71% | 183698 | 67% |
65세이상 | 40520 | 13% | 60671 | 33% |
35세미만 | 133820 | 43% | 87537 | 32% |
20세미만 | 72495 | 23% | 41659 | 15% |
기간 중 총인구는 약 3만 7천 명 감소했습니다.
- 인구 중 15세 미만 비중은 총인구 중 16%였으나 10%로 감소했습니다.
- 인구중 65세 이상 비중은 총인구중 13%였으나 33%로 급증했습니다.
- 인구중 35세 미만(결혼적령기) 비중은 43% -> 32%로 감소했습니다.
즉, 총인구가 줄어들었는데 오히려 65세 이상 인구는 급증했습니다. 젊은 층 인구는 떠나고, 노인들이 남는 도시가 되어가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65세 이상이 증가하고, 35세 미만 청년 연령층이 줄어들고 있는 결과는 앞으로 출생, 사망에 영향을 주어 자연감소가 더 늘어날 것임을 보여 줍니다.
2023.02.22 -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 늙어가는 한국? 1960~2070년 5년 간격 인구 비중 변화 통계
정리하면 익산시는 약 27만의 인구를 가졌으나 감소하는 추세이며 급격해지고 있습니다. 지역유출, 자연감소 둘 다 문제이나, 자연감소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등, 출생, 사망자수로 인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습니다. 젊은 층 인구를 붙잡아둘 방안이 요구됩니다.
지금까지 익산시 인구수 관한 정보였습니다. 지역유출을 막는 일자리, 정주여건에 대한 분석과 대비로 다시 한번 전라남도 최고 도시중 하나로서 발전하길 기원합니다.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멸위험지수 (의미, 통계, 지역) 정보 (0) | 2023.05.07 |
---|---|
군산 인구 30년 (변화,감소) 현황 (0) | 2023.05.06 |
전라북도 정읍시 인구수 (30년 변화, 성별, 연령별) 정보 (0) | 2023.05.05 |
전라남도 여수시 (현재, 30년간) 인구수, 감소원인 2가지 (0) | 2023.05.01 |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동) 인구수 변화 및 원인 (0) | 2023.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