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로 이해하는 세상

전국 연봉실수령액 높은 도시 순위

by 에르피스 2023. 3. 2.
반응형

전국 평균 연봉실수령액이 가장 높은 도시를 알려드리기 위해 통계정 KOSIS를 활용하였습니다. 통계활용지표는 지역별 월평균 임금 관련 자료를 이용해 순위별로 비교하고 지역 특징을 알려드립니다.


#. 전국 평균 연봉실수령액 도시 비교 차트

전국 평균 소득 순위 사진

전국을 평균소득순서로 나열한 결과입니다. 여러분 예상과 비슷하신가요? 저는 생각했던 부분과 좀 많이 달랐습니다. 아래의 순위를 보시면서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지역 평균 소득 순위
전국 3,717,328  
서울 4,082,853 1위
경기도 3751651 2위
울산 3725381 3위
세종 3685371 4위
충청남도 3669868 5위
경상북도 3563537 6위
대전 3560180 7위
전라남도 3445263 8위
충청북도 3439403 9위
인천 3,418,862 10위
부산 3404468 11위
강원도 3285138 12위
전라북도 3192759 13위
광주 3284566 14위
대구 3202101 15위
경상남도 3192759 16위
제주도 3036703 17위

1. 1등 예상 못한 서울 수도권 지역

여러분들은 당연히 대한민국 최고의 도시 서울과, 경기도권의 소득이 높을 거라고 생각하셨나요? 저는 서울, 인천, 경기도 평균소득은 높다고 하더라도 1위는 못할 거라고 예상했습니다.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평가의 대상이 되는 인구가 너무 많다는 것과 부의 격차가 크다는 것 이런 이유들이 평균을 깎아먹을 거라고 생각했거든요. 하지만 가장 높은 소득 수준을 보인곳은 우리나라의 수도 서울입니다. 평균소득이 낮을 거라 예상했던 높은 인구수, 빈부격차는 사실 반영되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제가 생각하지 못한 변수가 있다면 대한민국의 수도로서 서울에는 대한민국 초 고소득자의 수준이 압도적이며 대상자도 매우 많다는 것입니다. 즉, 엄청난 부자가 많기에 평균이 올라간 것이라고 봐도 됩니다. 초록색인 수도권을 다 묶으면 비 수도권에 비해 명확하게 높아 보이는 그림이 만들어지는데요. 우리나라 인구의 거의 반을 차지하며, 경제의 중심지, 다수의 기업, 좋은 인프라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가 많고, 고소득에게 살기 좋은 여건을 제공해 주는 수도권이기에 확실히 비수도권과 평균 소득면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2. 예상만큼 높은 소득 울산시, 의외로 높은 소득 대전시, 세종시

울산은 많은 사람들이 예상하는 도시이미지가 공단이죠. 조선업, 자동차, 석유화학등의 고임금을 주는 업장이 많습니다. 이런 이유로 일자리를 찾아 들어온 남성의 비중이 극단적으로 높은 도시 중에 하나입니다. 평균소득이 당연히 높은 편이지만 조선업 불황으로 2017년 이후로는 계속 하락세이며, 평균소득 상승세도 매우 둔화된 모습입니다. 

 

대전시 평균소득을 낮게 예상했던 측면에서 조금 놀랍습니다.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평균소득은 양질의 일자리, 즉 울산처럼 높은 임금을 주는 공단이 포함되거나, 서울, 경기처럼 한국의 중심지이거나 해야 하는데 대전은 실질 체감으로 일할 곳이 없다고 평가받는 곳 중 하나거든요. 제 경험으로 추측하자면 대전 유성구는 예전부터 전국에서 부자동네를 따질 때 상위권에 위치하는 동네입니다. 즉, 부자동네 수준은 높은 평균 소득과 연관 있음으로 일부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 기업보다 연구원이 많이 있는 곳입니다. 대전에 있는 각 연구원들, 공기업들의 임금은 평균적으로 높은 편에 속해서, 젊은 층의 일자리가 없는 것뿐이지 오히려 평균이상의 소득을 주는 일자리가 많다는 것을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세종시도 조금 의외였습니다. 보통 우리가 세종을 기억하는 것은 공무원 도시거든요. 그리고 공무원의 임금을 박봉처럼 인식하는 분위기가 있으니 말입니다. 하지만 이것도 편견입니다. 공무원은 연차에 따라 임금 상승률이 높은 편에 속합니다. 또한 공무원이 많이 포진되어 있으니, 평균을 깎아먹을 저소득층의 수도 그리 적지 않다는 얘기입니다. 또한 예전 재난지원금을 소득의 하위층을 기준으로 지급했는데 재난지원금을 적게 받은 도시로 서울 다음이 세종시였습니다. 의외로 고소득자가 많다는 이야기와 공무원들의 도시로서 평균을 깎아먹지 않는 고른 연봉의 도시가 세종이라고 생각합니다. 


3. 평균소득 순위로 알 수 있는 것들은 제한적

그 외 광역시, 도 의 경우는 평균소득순위로 많은 것을 판단하긴 어렵습니다. 즉 평균소득순위가 높으니 부자동네, 낮으니 가난한 동네라고 평가하기 어렵다는 말입니다. 매우 큰 범위의 지역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 시라면 구, 동, 도라면 군, 면, 읍 단위로 평균소득이 높은 곳과 낮은 곳을 세부적으로 봐야 알 수 있습니다.

서울을 나눠보면 최상위 소득 지역은 강남, 서초 등이며 이곳에서 평균을 올리는 만큼 서울 최하위 소득층은 생각보다 낮은 소득을 영위할 수도 있습니다. 즉 서울의 소득이 높다고 서울의 인구 모두가 잘 사는 것이 아니며 , 다른 지역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단순한 지역별 평균연봉 상위 순위와 지역별 특성을 보는데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